차이나 커머스 공세, 더 커졌다

글, JYP

중국 직구 비중이 크게 늘었어요

약 4조 원. 지난해, 우리나라 사람들이 알리익스프레스(알리)와 테무에서 결제한 것으로 추정되는 금액이에요. 1년 전과 비교하면 85% 증가한 수치예요. 전체 해외 직구에서 중국 직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크게 늘었어요. 현재 약 60%로, 2020년까지만 해도 23.9%에 그쳤던 걸 감안하면 5년 만에 3배 가까이 증가했어요. 중국 이커머스가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며, 자국에서 과잉 생산된 상품을 한국에서 소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와요. 


미국 떠나 한국을 집중 공략하고 있어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인 관세 정책으로, 미국에서 중국 이커머스의 입지는 좁아질 전망이에요. 전보다 중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낮아질 테니까요. 중국 이커머스도 이 점을 예상해, 한국을 대체 시장으로 점찍었을 가능성이 있어요. 알리에 이어, 최근 테무도 한국 시장에 직진출을 준비하고 있어요. 이미 한국은 연간 거래액 242조 원, 세계 5위 규모의 이커머스 시장이기도 해요. 

JYP 한마디

👛 알리, 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 업체는 마케팅비를 어마어마하게 쏟아붓는 것으로 유명해요. 지난해 국내 디지털 광고에서 가장 많은 SNS 광고 노출을 기록한 기업 중 1위는 쿠팡, 2위는 삼성전자, 3위는 테무, 9위가 알리였어요. 테무는 무려 108억 건 이상 디지털 광고 노출 건수를 기록했어요. 알리, 테무의 공세가 본격화하면, 국내 이커머스 업계는 쿠팡, 네이버를 제외하고는 타격을 입게 될 수 있어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요일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