쏟아지는 경매 물건, 투자자도 외면한다?

글, JYP

법원 경매로 넘어가는 부동산이 많아졌어요

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렸다가 원금과 이자를 제때 갚지 못해, 부동산이 경매로 넘어가는 ‘임의경매’ 매물이 올해 들어 급격히 늘었어요. 올해 1~11월 부동산(토지·건물집합건물) 임의경매 신청 건수가 12만9703건으로 집계돼, 직전 최고치인 2013년 기록을 넘어섰어요. 특히 아파트, 오피스텔 등이 포함된 ‘집합건물’의 임의경매가 급격히 증가했어요. 임의경매는 돈을 빌린 금융사에서 세 달 이상 연체하면 법적 절차를 거치지 않고 즉시 실행이 가능해요.


경매로 넘어가도 주인 찾기 어려워요

부동산 시장에 임의경매 매물이 늘어난 배경에는 경기침체, 고금리,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라는 삼중고가 자리하고 있어요. 부동산 시장 호황기에 대출을 최대한 받아 부동산을 구입한 집주인들이 높은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며 연체로 이어진 거죠. 여기에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겹치며 주택을 구입하려는 심리는 전보다 위축돼 있어요. 경매로 매물이 나오더라도 낙찰되지 않는, 유찰 물건도 많아요. 올해 11월 29일까지 전국 법원에서 진행된 아파트 경매는 3만2260개인데, 이 중 1만9493개 물건은 주인을 찾지 못했어요. 이전에 경매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많았던 수도권 아파트 물건도 요새 맥을 못 추고 있어요.

JYP 한마디

🏚️ 한때 경매는 ‘저평가된 매물 줍줍할 수 있는 기회’로 여겨지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아왔어요. 요즘 분위기는 달라요. 거시경제가 어려운 상황에 부동산 규제도 강해, 시세차익을 볼 가능성이 희미해졌거든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