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업계 투톱, 실적이 심상찮다?

글, JYP


매출은 선방, 영업이익이 크게 줄었어요

편의점 업계 투톱, CU와 GS25의 1분기 실적이 발표됐어요. 두 업체 모두 1년 전에 비해 매출은 조금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30% 넘게 줄었어요. 이번에도 GS25가 업계 1위를 지켰지만, CU가 빠르게 치고 올라오면서 올해에는 순위가 역전될 거라는 전망도 나와요

  • GS25: GS25를 운영하는 GS리테일의 1분기 매출은 2조 123억 원(전년대비 2.2% 증가), 영업이익은 172억 원(전년대비 34.6% 감소)을 기록했어요
  • CU: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의 매출은 2조 165억 원(전년대비 3.2% 증가), 영업이익은 226억 원(전년대비 31% 감소)을 기록했어요

편의점 업계 전체가 어려워요

GS25와 CU를 포함한 전체 편의점 매출을 보면, 1년 전에 비해 0.4% 역성장했어요. 편의점 업계가 이렇게 역성장을 보인 건 2013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이에요. 그간 분기마다 5~10%씩 성장해온 업계거든요. 매년 증가해 왔던 편의점 점포 수도 지난해 68개 줄었어요. 점포 수가 감소한 건 편의점 산업이 국내에 등장한 1988년 이후 처음이에요.


내수 침체, 그만큼 심각해요

업계에서는 편의점이 어려워진 표면적인 이유로 추운 날씨, 대형 산불 등 외부 변수들을 꼽지만, 근본적으로 대내외적 환경이 불안정했던 데다, 내수가 너무 어려워진 탓이 커요. 경기가 어려울 때도 건재한 ‘경기 방어 업종’으로 꼽혔던 편의점 업계마저도 흔들린다는 거예요. 올해 1분기 한국 경제가 역성장(-0.2%)한 이유로도 ‘약한 내수’가 먼저 꼽혔어요.

JYP 한마디

💥 국내 편의점 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을 가능성도 있어요. 지난해 기준 편의점 4사의 점포 수는 5만 4852개로, 인구 943명당 편의점이 1개씩 있는 수준이었어요. 일본과 비교하면 인구당 점포 수가 2배 이상 많아요. 지금까지는 점포 수를 늘리며 외형적으로 성장하는 데 집중했지만, 이제는 차별화된 상품을 개발하고, 이미 운영 중인 각 점포의 수익성을 높여야 해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