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찌도 힘들다는데 명품 ETF 잘 나가는 이유

글, JYP

구찌 매출, 예전 같지 않아요

지난해 ‘구찌’의 글로벌 매출은 77억 유로(약 12조6000억 원), 영업이익은 16억 유로(약 2조4000억 원)으로 1년 사이 각각 23%, 51% 감소했어요. 구찌는 지난 몇 년간 밀레니얼 세대 고객이 많이들 찾았던 브랜드인데요,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에 상대적으로 지갑이 얇은 밀레니얼 세대가 발길을 끊고 있어요. 또 구찌는 중국 시장 의존도가 높아서, 중국의 경기 침체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기도 했어요.  


에르메스는 오히려 잘 나가요

명품 브랜드 중에서도 초고가 정책으로 잘 알려진 ‘에르메스’는 지난해 성장세를 보였어요. 초고가 정책이 경기침체기에 오히려 구원투수가 됐다고 해요. 구매력 높은 자산가들이 럭셔리 브랜드의 가격 인상 정책을 되려 반기면서, 더 ‘하이엔드’로 올라선 초고가 제품을 구매하기 시작했거든요. 페라리, 롤스로이스 등 초럭셔리 기업도 마찬가지였어요. 대중성이 높은 럭셔리 브랜드의 소비가 줄고, 초고가 제품을 구매는 증가하는 양극화가 심화하는 상황이에요.


투자자들은 명품 시장을 이렇게 내다봐요

경기 침체에 구찌 등 글로벌 브랜드도 어려움을 겪는 중이지만, 증시에서는 명품 브랜드 관련 ETF가 떠오르고 있어요. 삼성자산운용의 ‘KODEX 유럽명품TOP10STOXX’는 최근 3개월간 30%가 넘는 상승률을 보였어요. 미국 대선 이후 시장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부유층이 다시 지갑을 열기 시작했고, 중국 정부의 추가 부양책에 따라 중국 경기도 되살아날 수 있다는 게 투자자들의 생각이에요. 

JYP 한마디

🤔 경기침체라는 환경적인 원인 외에, 구찌 브랜드 고유의 문제도 있어요. 구찌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D)가 누구인지에 따라 브랜드 정체성도, 실적도 크게 흔들려요. 2015년 알레산드로 미켈레가 CD로 발탁되며 제2의 전성기를 이끌었지만, 사바토 데 사르노가 그 뒤를 이으며 다시 부진에 빠졌어요. 얼마 전, 구찌는 데 사르노와 결별했는데요, 후임이 아직 결정되지 않았어요. 적절한 후임을 찾고도 구찌가 ‘숫자’로 좋은 실적을 내보이는 데까지는 최소 4~5시즌을 더 기다려야 할 거예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요일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