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세? 39세? 대체 몇 살까지가 청년이죠?

글, 어피티


“청년 나이 기준, 몇 살이 적절한가요?”


청년(靑年)은 말 그대로 ‘푸른 나이’예요. 아직 완전히 무르익지는 않았지만, 가능성이 가득하고 생기 넘치는 시기죠. 보통 만 19세부터 34세까지를 청년이라고 하는데, 요즘은 이 기준이 많이 달라지고 있어요. 결혼도 늦어지고 취업 시기도 다양해지면서 청년의 범위가 점점 넓어진 거예요.


청년의 정의가 넓어지면서 청년 정책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어요. 과거에는 주로 20대 초중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지원책이 많았는데요. 요즘은 청년 취업 장려금, 월세 지원, 창업 지원금 등 더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정책들이 등장하고 있어요. 


MZ세대는 ‘청년’의 기준이 몇 살이어야 한다고 생각할까요? 각자가 생각하는 청년의 기준과 직접 체감한 청년 정책은 어땠는지 MZ세대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어봤어요.

생생 MZ톡 참여자 


  • 엠즤가뭐다냐 (24세, 취준생)
  • 경프로도 (26세, 사무직)
  • 하니 (31세, 사무직)
  • 나다 (34세, 사무직)
  • 경일 (32세, 사무직)

현재의 청년 기준(만 19세~34세)가 적절한 것 같나요? 아니면 조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 엠즤가뭐다냐 (24세, 취준생): “40세 전까지는 청년으로 봐야 해요.”
    저는 40세 전까지는 청년으로 보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이미 시행되고 있는 여러 청년 지원제도에서 39세까지를 청년 기준으로 삼는 경우가 많잖아요. 그런데 제도마다 기준이 달라 헷갈릴 때도 있어요. 청년 매입 임대주택은 만 39세까지 가능하지만, 청년도약계좌는 만 34세까지만 지원하거든요. 일관된 기준이 생겼으면 좋겠어요.

  • 경프로도 (26세, 사무직): “결혼 후 가정이 생기면 더 이상 청년이 아니에요.”
    저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기준이 적절하다고 생각해요. 최근 신혼부부에 대한 데이터를 보면 평균 초혼 연령이 여 31세, 남 34세인데, 결혼 후 가정이 생기면 더 이상 청년으로 보기 어렵다고 생각하거든요. 다만 앞으로 청년들이 결혼 연령이 더 늦어진다면 그에 맞춰 기준을 조정할 필요는 있겠죠.

  • 하니 (31세, 사무직): “청년 정책보다는 삶의 형태에 맞춘 정책이 필요해요.”
    저도 현재 기준은 꽤 적절하다고 봐요. 개인적으로는 34세 이후부터 저마다 삶의 형태가 확연히 달라지기 시작한다고 생각해요. 가치관에 따라 결혼하거나, 딩크(DINK; Double Income, No Kids)를 선택하거나, 비혼으로 살기도 하겠죠. 이때부터는 청년 정책보다는 신혼부부나 1인 가구처럼 삶의 형태에 맞춘 정책을 펼치는 게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해요.

  • 경일 (32세, 사무직): “사기업들도 청년 기준을 확대하는 만큼 정부 정책도 변화가 필요해요.”
    취업 연령이 높아지면서 30대 초반 신입도 흔해졌어요. 이들이 자리를 잡는 기간까지를 청년이라고 고려했을 때 10년 정도는 유예를 둬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사기업들도 청년 연령 기준을 자발적으로 확대하는 추세인 만큼, 정부 정책에서도 청년 기준 연령 상향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봐요.

지자체마다 청년 나이 기준이 다르게 적용되기도 하는데,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준이 필요할까요? 아니면 지역 특성에 맞게 달리 정하는 게 좋을까요?


  • 하니 (31세, 사무직): “지역별로 나이를 다르게 정하는 게 현실적이에요.”
    저는 지역별로 청년 나이를 다르게 정하는 게 더 현실적이라고 봐요. 시골에 가보면 40·50대도 동네에서는 젊은이 소리를 듣잖아요. 이런 상황을 고려해서 각 지역의 인구 분포나 소득 수준 등에 따라 기준을 정하면 좋겠어요. 고령화가 심각한 지역은 기준 나이를 좀 더 높게 잡고, 젊은 인구가 많은 도시는 현행대로 가는 거죠.

  • 경일 (32세, 사무직): “혼란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통일된 기준이 필요해요.”
    정부 차원의 정책은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준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특히 청년 주거 지원처럼 전국 단위로 진행되는 중요한 정책들은 나이 기준을 하나로 통일하면 좋겠어요. 그래야 정책을 이용하는 청년들도 혼란스럽지 않을 것 같아요.

  • 경프로도 (26세, 사무직): “기준이 달라 이사 갈 때마다 다시 알아봐야 해요.”
    저도 전국적으로 어느 정도는 통일된 기준이 필요하다고 봐요. 저는 예전에 경기도에서 지원받던 혜택을 서울로 이사 오면서 못 받게 된 경험이 있었거든요. 지역마다 청년 나이 기준이랑 지원 조건이 달라서 이사 갈 때마다 일일이 기준을 찾아보고 다시 신청해야 하는 게 너무 불편했어요. 

  • 나다 (34세, 사무직): “청년의 범위는 상대적이지만, 통일된 기준이 필요한 부분도 있어요.”
    청년의 범위는 상대적으로 봐야 할 것 같아요. 고령화가 심각한 농촌에서는 45세도 청년으로 보는 경우가 있고, 각 지역의 인구 구조나 정책 목표가 다르니까 지역 실정에 맞게 기준을 조정하는 게 효율적이겠죠. 다만, 세법처럼 국가적으로 통일된 기준이 필요한 부분도 있어요. 세제 혜택과 관련된 청년 기준은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일관성을 유지해야 해요.

청년 정책에서 나이 때문에 아쉽게 놓친 혜택이 있었나요? 반대로 적절한 시기에 지원받아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던 경험이 있다면 어떤 것이 있었나요?


  • 나다 (34세, 사무직): “청년 지원금이 큰 도움이 되었어요.”
    지금으로부터 10년 전, 제가 24세 때 시에서 청년 지원금으로 받았던 100만 원은 생활비로 큰 도움이 됐어요. 첫 직장이 중소기업이었는데 그 시기에 받았던 혜택들도 정말 유용했답니다. 월 30만 원씩 지급된 마이스터 통장, 월 5만 원의 교통비 지원, 그리고 100만 원 이상의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혜택 덕분에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덜 수 있었거든요. 현재도 K-패스 지원금, 청년도약계좌, 청년형 장기집합투자증권저축 소득공제 등의 혜택을 받고 있어요. 이런 실질적인 정책들이 청년들에게 초기 자산 형성을 지원해 주는 데 큰 역할을 한다고 생각해서 앞으로도 사회초년생들한테 이런 기회가 많이 주어지면 좋겠어요.

  • 하니 (31세, 사무직):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보며 부러웠어요.”
    작년에 있었던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보며 정말 부러웠어요. 19세 청년들에게 뮤지컬이나 연극 관람을 지원해 주는 제도였는데, 저도 고등학교 졸업 즈음에 보고 싶은 연극이 정말 많았거든요. 그래도 얼마 전, 재취업을 준비할 때 받은 청년수당은 큰 도움이 됐어요. 마침, 다리를 크게 다쳐서 병원비가 많이 나갔는데, 청년수당 덕분에 물리치료를 포함한 치료비를 걱정 없이 해결할 수 있었거든요. 덕분에 지금은 다 나았답니다.

  • 경일 (32세, 사무직): “청년 버팀목 전세 대출,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 청년 내일채움 등이 도움이 되었어요.”
    청년 버팀목 전세 대출을 통해 낮은 금리로 전셋집을 마련할 수 있었고, 예전에 받았던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도 아주 유용했어요. 그 덕분에 갓 취업했을 때 이자 부담 없이 전세 보증금을 마련할 수 있었죠. 특히 예전에 있었던 청년 내일채움 공제가 큰 도움이 됐었는데요. 갓 취업한 청년들에게 목돈을 만들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동기부여를 심어주는 정말 좋은 정책이었다고 생각해요. 최근에는 정부가 지원하는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바우처에 관심이 많아요. 우울하거나 힘든 일이 있을 때 어디에서 도움을 받을지 막막할 때가 많은데, 정부에서 연계해 주는 상담 프로그램은 왠지 더 믿음이 가더라고요. 마음 건강에 대한 지원이 앞으로 더 확대되었으면 좋겠어요.

어피티의 코멘트

  • 최근 발표된 고용동향에서 청년층 취업자 수가 1년 전에 비해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어요. 구직 활동을 하지 않은 ‘쉬었음’ 인구도 크게 늘었어요. 신입 채용이 줄어들다 보니 취업에 성공한다고 하더라도 첫 취업도 늦어지는 사례가 많아졌죠. 그만큼 청년들의 삶이 각박해지고 있다는 뜻인데, 이럴 때일수록 좀 더 현실적이고 유용한 청년 정책이 필요해요.
    MZ세대들은 시대가 변화하고 삶의 형태가 다양해진 만큼 청년의 기준이 변화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면서, 시의적절하게 받은 청년 정책이 도움이 됐던 경험을 들려주었어요. 실제로 청년 정책들이 청년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 사실을 입증하는 사례도 다양해요. 우리나라 경제를 짊어질 청년들이 살기 좋은 세상이야말로 모두가 살기 좋은 세상이 아닐까요?

공유하기

비슷한 리서치

kenny-truong-PoS7UGLfyHQ-unsplash
34세? 39세? 대체 몇 살까지가 청년이죠?
청년(靑年)은 말 그대로 ‘푸른 나이’예요. 아직 완전히 무르익지는 않았지만, 가능성이 가득하고 삶에서 가장 생기 넘치는 시기죠....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요일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