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생 MZ톡 참여자
- 엠즤가뭐다냐 (24세, 취준생)
- 경프로도 (26세, 사무직)
- 하니 (31세, 사무직)
- 나다 (34세, 사무직)
- 경일 (32세, 사무직)
현재의 청년 기준(만 19세~34세)가 적절한 것 같나요? 아니면 조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 엠즤가뭐다냐 (24세, 취준생): “40세 전까지는 청년으로 봐야 해요.”
저는 40세 전까지는 청년으로 보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이미 시행되고 있는 여러 청년 지원제도에서 39세까지를 청년 기준으로 삼는 경우가 많잖아요. 그런데 제도마다 기준이 달라 헷갈릴 때도 있어요. 청년 매입 임대주택은 만 39세까지 가능하지만, 청년도약계좌는 만 34세까지만 지원하거든요. 일관된 기준이 생겼으면 좋겠어요.
- 경프로도 (26세, 사무직): “결혼 후 가정이 생기면 더 이상 청년이 아니에요.”
저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기준이 적절하다고 생각해요. 최근 신혼부부에 대한 데이터를 보면 평균 초혼 연령이 여 31세, 남 34세인데, 결혼 후 가정이 생기면 더 이상 청년으로 보기 어렵다고 생각하거든요. 다만 앞으로 청년들이 결혼 연령이 더 늦어진다면 그에 맞춰 기준을 조정할 필요는 있겠죠.
- 하니 (31세, 사무직): “청년 정책보다는 삶의 형태에 맞춘 정책이 필요해요.”
저도 현재 기준은 꽤 적절하다고 봐요. 개인적으로는 34세 이후부터 저마다 삶의 형태가 확연히 달라지기 시작한다고 생각해요. 가치관에 따라 결혼하거나, 딩크(DINK; Double Income, No Kids)를 선택하거나, 비혼으로 살기도 하겠죠. 이때부터는 청년 정책보다는 신혼부부나 1인 가구처럼 삶의 형태에 맞춘 정책을 펼치는 게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해요.
- 경일 (32세, 사무직): “사기업들도 청년 기준을 확대하는 만큼 정부 정책도 변화가 필요해요.”
취업 연령이 높아지면서 30대 초반 신입도 흔해졌어요. 이들이 자리를 잡는 기간까지를 청년이라고 고려했을 때 10년 정도는 유예를 둬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사기업들도 청년 연령 기준을 자발적으로 확대하는 추세인 만큼, 정부 정책에서도 청년 기준 연령 상향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봐요.
지자체마다 청년 나이 기준이 다르게 적용되기도 하는데,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준이 필요할까요? 아니면 지역 특성에 맞게 달리 정하는 게 좋을까요?
- 하니 (31세, 사무직): “지역별로 나이를 다르게 정하는 게 현실적이에요.”
저는 지역별로 청년 나이를 다르게 정하는 게 더 현실적이라고 봐요. 시골에 가보면 40·50대도 동네에서는 젊은이 소리를 듣잖아요. 이런 상황을 고려해서 각 지역의 인구 분포나 소득 수준 등에 따라 기준을 정하면 좋겠어요. 고령화가 심각한 지역은 기준 나이를 좀 더 높게 잡고, 젊은 인구가 많은 도시는 현행대로 가는 거죠.
- 경일 (32세, 사무직): “혼란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통일된 기준이 필요해요.”
정부 차원의 정책은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준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특히 청년 주거 지원처럼 전국 단위로 진행되는 중요한 정책들은 나이 기준을 하나로 통일하면 좋겠어요. 그래야 정책을 이용하는 청년들도 혼란스럽지 않을 것 같아요.
- 경프로도 (26세, 사무직): “기준이 달라 이사 갈 때마다 다시 알아봐야 해요.”
저도 전국적으로 어느 정도는 통일된 기준이 필요하다고 봐요. 저는 예전에 경기도에서 지원받던 혜택을 서울로 이사 오면서 못 받게 된 경험이 있었거든요. 지역마다 청년 나이 기준이랑 지원 조건이 달라서 이사 갈 때마다 일일이 기준을 찾아보고 다시 신청해야 하는 게 너무 불편했어요.
- 나다 (34세, 사무직): “청년의 범위는 상대적이지만, 통일된 기준이 필요한 부분도 있어요.”
청년의 범위는 상대적으로 봐야 할 것 같아요. 고령화가 심각한 농촌에서는 45세도 청년으로 보는 경우가 있고, 각 지역의 인구 구조나 정책 목표가 다르니까 지역 실정에 맞게 기준을 조정하는 게 효율적이겠죠. 다만, 세법처럼 국가적으로 통일된 기준이 필요한 부분도 있어요. 세제 혜택과 관련된 청년 기준은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일관성을 유지해야 해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