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무역에서 적자가 났어요
우리나라 무역수지에서 최대 흑자국이었던 중국이 올해 최대 적자국으로 전환됐습니다. 올해 1월과 2월에만 중국을 상대로 6조 원 적자를 봤어요. 그동안 중국에서 돈을 가장 많이 벌어 왔는데, 이제는 중국에서 수입해오느라 쓰는 돈이 더 많다는 뜻이에요. 이대로라면 올해는 31년 만에 중국에 무역수지 적자를 볼 수도 있습니다.
대중 무역 적자의 원인을 분석해봤어요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정책으로 내수경제가 얼어붙어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이 줄어든 영향이 있습니다. 또 우리나라가 중국에서 배터리 원료 등 핵심소재를 더 많이 수입하게 됐고, 중국에 가장 많이 수출하던 상품인 반도체 납품은 줄어들기도 했어요.
중국과 수출 경쟁을 하는 구조예요
전문가들은 중국의 산업구조가 바뀐 것을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적합니다. 중국은 배터리와 석유화학제품 수출이 늘어났고, 완성차 수출도 흑자로 전환했어요. 중간재 🏷️ 수출 위주인 우리나라 수출 구조와 상당히 비슷해요.
이대로라면 중국과 수출 경쟁을 해야 합니다. 중국이 같은 산업 안에서 비슷한 상품을 수출도 하고 수입도 하는 ‘산업 내 무역’ 상대 1위인 만큼, 우리나라의 대중 무역 전략도 바뀔 필요가 있다고 해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