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난 고령층 집값도 오른다 🏘

 
고령화와 저출생 현상이 동시에 진행되어 인구가 줄어들면, 수요보다 공급이 커져 집값이 떨어질 것이라 생각하게 되죠. 그런데 국제결제은행(BIS)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는 정반대였습니다. 고령화가 진행되고 1인 가구가 많아져도 서울 내 저가주택, 소형주택, 신축주택 등의 가격은 오히려 오른다는 거예요.
 
2007년~2018년까지 우리나라 부동산 가격을 기준으로 한 연구 자료의 핵심 내용입니다.
① 고령자 비율이 높을수록 집값 상승률이 높아집니다.
② 반면 15세 미만 연령의 비율이 높을수록 집값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감소합니다.
③ 1인 가구가 증가하면 주택가격은 낮아지는 편입니다.
④ 하지만 ①~③ 모두 서울의, 85㎡ 미만, 지은 지 10년 이하 주택에서는 예외입니다.
정리하면 서울, 85㎡ 미만, 신축 주택은 꾸준한 오름세였다네요.
 
📍고령화가 집값 상승 요인이 되는 큰 이유 중 하나는 베이비붐세대들(1955~1963년생)이 노후대비용으로 투자에 나섰기 때문이에요. 만 60세 이상이 된 1960년대생들은 실질적인 의무교육을 받을 기회가 있었고, 경제의 고도성장 시기에 직장을 다니면서 경험을 쌓은 세대죠. 앞으로는 고령 세대에 대한 인식이 달라져야 할 것 같아요.
by 정인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