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FTA 추진하면 우리가 손해 아닌가요? 😶

 
 

 

글, 정인

 

20여년 만에 한·일 FTA 이야기가 나와요

지난달 22일은 한국과 일본이 다시 수교를 시작한 지 65주년이 되는 날이었어요. 한일 수교 65주년을 맞아 정치권에서 한·일 FTA를 재추진하려는 움직임이 보여요. 우리나라와 일본의 경제 규모를 합치면 약 8300조 원으로, 미국과 중국에 이어 전 세계 3위 시장을 형성해요. 1인당 GDP 4만 달러 이상의 소비 여력이 큰 고소득 인구만 1억7500만 명에 달하죠. 양국 모두 고령화와 저성장을 겪고 있기에 시장 통합 효과를 기대해 볼 만해요. 하지만 한·일 FTA는 2003년 12월 이후 21년째 중단된 상태예요. 서로 감정이 좋지 않은 상황이기도 했지만 무엇보다도 시장을 개방했을 때 우리나라의 손해가 훨씬 큰 것으로 나왔었거든요.

 

우리나라 경제 체력이 많이 올라왔어요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력과 산업 경쟁력은 일본을 많이 따라잡았어요. 우리나라의 1인당 제조업 부가가치 창출액은 이제 일본보다 높아요. 반도체와 조선·바이오 등 첨단 제조업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의 경쟁력이 비교적 탄탄하기 때문이에요. 특히 반도체 글로벌공급망에서 우리나라와 일본의 조합이 잘 맞는다고 하네요. 

 

국제질서 전환기에 시도해 볼만한 옵션이에요

물론 여전히 우리나라가 취약한 지점도 있어요. 첨단 소재와 정밀 부품, 장비 등 ‘소부장’은 일본을 따라잡기 힘들어요. 정부관계자는 오히려 그 점에서 한·일 FTA의 장점이 있다고 해요. 2019년, 일본은 정치적인 이유로 우리나라를 수출 우대국 리스트에서 제외한 적이 있어요. FTA 협정을 맺고 나면 이 같은 임의적인 무역 제재가 어려워져요. 다만, 마냥 장밋빛인 것만은 아니에요. 일본의 기술력이나 고부가가치 제품에 밀려 대일 무역적자가 더 커질 수도 있으니까요. 그래도 국제 무역 질서가 바뀌는 지금, 해볼 수 있는 시도를 해본다는 것에 의의가 있어요.

 

정인 한마디

🍬 자유무역협정 자체의 경제적인 효과도 20여 년만에 한·일 FTA 논의를 소생시킨 이유지만 그보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미국이 국제무역질서를 흐트러트린 영향이 더 커요. 자유시장경제질서 안에서 우리나라와 일본이 손을 잡지 않으면 중국은 물론 미국에도 효과적인 대응을 하기가 너무 어려워졌거든요. 양국의 해묵은 감정이 뜻밖의 계기로 크게 완화될지도 모르겠네요. 뒷걸음질 치다 잡힌 평화랄까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