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 같았던 지난주, 해일이 밀려오는 이번 주

글, 정인

원-달러 환율, 급락했다가 급등했다가

지난 4일, 대통령 파면에 선고됨에 따라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된 영향으로 원-달러 환율은 1,430원대로 즉시 떨어졌어요. 바로 전날까지 1,470원대 중반을 넘어서며 1,500원을 넘는 것은 아닌지 걱정하던 상황이라 안도를 부르는 소식이었어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고율의 ‘상호관세’를 발표하며 발생한 미국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도 환율 하락에 영향을 미쳤고요. 그러나 다음날인 5일, 환율은 다시 1,460원대로 복귀했어요. 중국이 미국을 상대로 즉시 보복관세를 부과했고, 미국의 고용지표가 탄탄하게 나오면서 무역전쟁 고조에 안전자산을 찾는 투자자들이 달러를 사들였기 때문이에요.


팬데믹 이후 최악이었던 미국 증시

현지 시각 4일, 미국 증시는 팬데믹이 닥쳤던 2020년 이후 최악의 하루를 보냈어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계속 하락세였던 S&P500 등 주요 지수들은 하루 만에 6% 가까이 폭락했어요. 빅테크가 상장된 나스닥 종합지수는 3~4일 이틀간 11% 넘게 떨어졌어요. 이틀간 9652조 원이 사라진 셈이에요. 금값과 국제유가도 패닉셀에 폭락했어요. 월스트리트와 경제학자들은 팬데믹 이후 이어졌던 미국 증시 호황이 추세적으로 끝났다고 보고 있어요.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은 피해를 인정하면서도 ‘장기적인 번영을 위해 단기적 고통은 참아야 한다’는 입장이에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을 설계한 스티븐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의장은 같은 날, 미국 경제가 입을 단기적 피해를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고 밝혔어요.

정인 한마디

🍬 미국과 협상해야 한다고 하지만 사실상 뚜렷한 카드는 없어요. 단순히 맞춰주고 허리를 숙인다고 해서 상황이 나아지지는 않는다는 것만 분명하죠. 일본과 대만은 트럼프에 ‘큰 선물’을 미리 주었는데도 높은 관세를 맞아, 허탈한 심정을 숨기지 않고 있어요. 지난달 30일, 관세 폭탄에 맞서 한중일 경제통상 장관들은 공동 대응을 하기로 했어요. 미국이 동맹국과 맺은 자유무역협정을 말 한마디로 백지화하는 동안 중국은 다른 국가에 손을 내밀고 있어요. 영국의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지는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만 이롭게 하고 있다고 분석했어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