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에 마트에 가면, 이런 마크가 붙은 제품들을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게 바로 우리나라 환경부에서 수집한 LCI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해서 탄소발자국을 계산하여, 다른 제품에 비해 탄소량이 적은 제품에 붙여주는 환경부 인증이랍니다.
그래도 나름 우리나라 정부가 직접 만든 LCI 데이터베이스인데, 외국기업들은 왜 이 인증을 인정해주지 않는 걸까요?
원인은 데이터에 규모에 있어요. 2023년 4월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LCI 데이터베이스에 탄소배출량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제품은 438개에 불과해요.
지구상에 우리가 ‘제품’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의 종류가 몇 가지나 될까요? 수만 혹은 수십 만 개는 넘겠죠? 전문적으로 LCI 데이터를 수집해서 기업들에게 판매하는 스위스의 비영리기관 ‘Ecoinvent’가 수집한 제품 품목만 해도 최소 18,000개 이상이라고 해요.
그러니 글로벌 대기업들이 보기에 우리 정부의 LCI 데이터베이스는 정보량도 부족하고 그 근거가 빈약하다고 비춰질 수밖에 없는 것이죠. 사정이 이렇다 보니 우리 기업들은 정부를 믿고 있을 수가 없고, 각자도생의 길을 걸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에요.
기업들마다 바이어가 요구하는 바에 따라서 LCI 데이터베이스들을 동원해 각자 알아서 자사 제품의 탄소량을 계산해야 하는 상황인 겁니다.
그나마 대기업들은 좀 상황이 나은 편이에요. 돈과 정보력이 있고 인력도 충분하니까요. 특히 탄소배출량이 높고 수출비중이 큰 철강이나 석유화학 분야의 대기업들은 이런 흐름을 진작부터 파악하고 있었고, 내부적으로 탄소발자국 계산도 이미 마무리되어 현재는 단순히 탄소량 ‘파악’이 아닌 ‘감축’의 단계로 진입한 기업들도 적지 않습니다.
문제는 돈도, 인력도, 정보도 부족한 수출 중심의 중소기업들이에요. 이런 기업들이야말로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죠.
그나마 현재 환경부가 우리나라 LCI 데이터베이스를 인정받기 위해서 EU와 계속해서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해요.
기업들 입장에서는 우리회사 제품의 탄소발자국을 유럽제품과 공식적으로 비교 가능해져야 구체적인 ‘감축’ 전략도 세울 수 있기 때문이 무척 중요한 문제입니다.
수출이 경제에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나라인만큼 선제적인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죠. 더 늦게 전에 정부 차원에서 좋은 소식이 들려오길 국내 기업들은 바라고 있어요.
오늘 내용에서 중요하게 알 수 있는 사실 중 하나는, 국가 전체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율이 높을수록 탄소국경조정제도에 대응하기가 유리하다는 것이에요. 친환경으로 변화는 환경 그 자체뿐 아니라 경제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