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손 ‘유커’, 그들이 돌아온다

글, 치타


중국인 단체 관광객, 이제 무비자로 입국 가능합니다

오는 9월부터 한시적으로 중국인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이 가능해져요. 2017년 사드(THAAD) 사태 이후 처음이에요. 정부는 이번 조치가 내수 진작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어요. 이번 무비자 기간이 중국 최대 명절 중 하나인 중추절(10월 1~8일)과 APEC 정상회의(10월 31일~11월 1일)가 겹치는 만큼 우리나라를 찾는 관광객이 크게 늘 것으로 예상돼요.

관련 업계는 들썩이고 있어요

소식이 발표된 후 중국의 주요 온라인 여행 플랫폼에서 한국 관광 관련 검색량이 급증하는 등 효과는 바로 나타나고 있어요. 면세점, 여행, 카지노 등 수혜 업종의 주가는 들썩이고 있죠. 한한령 해제로 중국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기대감에 엔터, 화장품주의 주가도 급등했어요. 특히 전체 매출 중 중국인 비중이 약 70% 이상인 면세점은 이번 조치로 인한 매출 증가에 큰 기대를 걸고 있어요.


지금은 ‘유커’보다 ‘싼커’ 시대 

일각에서는 단체 관광객에 한정된 이번 정책의 체감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신중론도 나와요. 단체 관광객(유커)이 중심이었던 과거와 달리, 현재 우리나라를 찾는 중국 관광객들은 자유여행을 즐기는 2030 중심의 개별관광객, 즉 ‘싼커’가 대부분이기 때문이에요. 이들은 이색적인 체험을 선호하고 최근 온라인에서 화제가 된 곳을 방문하며, 면세점이 아닌 올리브영이나 다이소에서 가성비 소비를 하는 편이에요. 

치타 한마디

🔥 10월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 시진핑 주석이 참석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죠. 이에 맞춰 무비자 정책이 시행되는 것은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염두에 둔 외교적 목적도 있어요. 최근 중국은 해외 관광객에 무비자 정책을 실시하고 있고, 중국 본토에서 케이팝 공연이 열리는 등 한한령 해제에 대한 기대도 확산하고 있어요. 중국이 이런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는 데는 해외 관광객 유치를 통한 경기 활성화와 더불어, 미국과의 패권 경쟁 속에서 주변국과 안정적인 관계를 도모하기 위해서예요. 두 나라 사이에서 우리나라의 대응은 점점 더 어려운 ‘고차 방정식’이 되어가고 있는데요. 쉽지 않겠지만, 국익을 최우선으로 한 현명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