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집값은 천천히 조금씩 오른대요
지난 14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국회 국정감사에서 당분간 수도권 주택가격이 완만하게 상승할 것이라고 발언했어요. 이어 16일,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국민연금 기금으로 상업용 빌딩 등 국내 부동산에 총 6000억 원 규모 대형 투자를 집행할 것이라고 밝혔어요. 올해 11월에는 기금본부 설립 이래 최초로 부동산 대출 펀드 위탁 운용사를 선정하고, 금리인하가 본격화되면 레지덴셜이나 데이터센터에도 투자할 것이라고 해요.
시장은 좋아해요, 가계부채 증가세만 빼면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증가세를 경계하고, 한국은행 총재까지 나서서 금융 안정에는 수도권 집값 안정이 중요하다고 발언했지만, 지난해 봄까지만 해도 정부는 적극적인 부동산 경기 부양책을 폈어요. 이번 금리인하와 수도권 부동산경기의 완만한 회복세에 시장은 은근히 기대감을 나타내는 모습이에요. 9월 소비자동향조사에서 주택가격전망은 2021년 10월 이후 최고 수준이에요. 주택산업연구원의 주택사업자 대상 조사에서도 수도권 지역 가격 상승 기대감은 높아요.
부동산을 너무 키워버려 어쩔 수 없어요
부동산 시장이 가라앉자 당장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주요 수입원인 토지 판매가 저조해요. 건설 경기도 덩달아 위축돼 철강이며 시멘트 같은 건설 관련 후방산업도 사정이 어려워요. 금융업계도 ‘투자자산’인 집값 하락에 기업 건전성을 걱정하는 곳이 늘어났죠. 우리나라만 그런 것은 아니에요. 중국은 340조 원대 대규모 부동산 부양책을 발표했어요. 사실 투자자금이 부동산으로 과도하게 쏠리면 증시나 기업 연구개발에 갈 돈은 모자라게 되어 있어요. 은행들도 담보가 있는 부동산에 대출을 집중해 기업이 경영에 쓸 대출자금이 부족해지죠. 그래서 중국은 부동산 거품을 꺼트리려 했지만, 부동산 침체가 가져온 연쇄적인 경기 위축이 너무 심각해 결국 부양책을 내놓았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