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면 걱정, 내리면 한숨 애증의 부동산 시장

글, 정인

수도권 집값은 천천히 조금씩 오른대요

지난 14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국회 국정감사에서 당분간 수도권 주택가격이 완만하게 상승할 것이라고 발언했어요. 이어 16일,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국민연금 기금으로 상업용 빌딩 등 국내 부동산에 총 6000억 원 규모 대형 투자를 집행할 것이라고 밝혔어요. 올해 11월에는 기금본부 설립 이래 최초로 부동산 대출 펀드 위탁 운용사를 선정하고, 금리인하가 본격화되면 레지덴셜이나 데이터센터에도 투자할 것이라고 해요.


시장은 좋아해요, 가계부채 증가세만 빼면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증가세를 경계하고, 한국은행 총재까지 나서서 금융 안정에는 수도권 집값 안정이 중요하다고 발언했지만, 지난해 봄까지만 해도 정부는 적극적인 부동산 경기 부양책을 폈어요. 이번 금리인하와 수도권 부동산경기의 완만한 회복세에 시장은 은근히 기대감을 나타내는 모습이에요. 9월 소비자동향조사에서 주택가격전망은 2021년 10월 이후 최고 수준이에요. 주택산업연구원의 주택사업자 대상 조사에서도 수도권 지역 가격 상승 기대감은 높아요.


부동산을 너무 키워버려 어쩔 수 없어요

부동산 시장이 가라앉자 당장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주요 수입원인 토지 판매가 저조해요. 건설 경기도 덩달아 위축돼 철강이며 시멘트 같은 건설 관련 후방산업사정이 어려워요. 금융업계도 ‘투자자산’인 집값 하락에 기업 건전성을 걱정하는 곳이 늘어났죠. 우리나라만 그런 것은 아니에요. 중국은 340조 원대 대규모 부동산 부양책을 발표했어요. 사실 투자자금이 부동산으로 과도하게 쏠리면 증시나 기업 연구개발에 갈 돈은 모자라게 되어 있어요. 은행들도 담보가 있는 부동산에 대출을 집중해 기업이 경영에 쓸 대출자금이 부족해지죠. 그래서 중국은 부동산 거품을 꺼트리려 했지만, 부동산 침체가 가져온 연쇄적인 경기 위축이 너무 심각해 결국 부양책을 내놓았어요.

정인 한마디
🚀 가계부채는 늘지 않으면서 지방 부동산을 포함해 전국 집값이 완만하게 오르면 가장 좋은 시나리오일 거예요. 하지만 불가능한 일이죠.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가 아주 심한 데다, 현대 경제에서 금융(대출 및 투자)과 부동산은 한 몸이니까요. 한중일 모두 고도성장기에 부동산을 이용해 내수시장에 돈을 돌게 만들었죠. 하지만 고도성장이 끝나면 부동산 쏠림의 부작용이 나타나게 되죠. 불평등 심화나 유동성이 묶이는 것도 문제지만, 근본적으로 부동산 자산은 기업 생산성 향상이나 국가 수출 증가에 큰 도움이 되지 않아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