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의 차이나 리스크 🍎

중국 정부가 기업에 ‘고객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통제권’을 요구한다는 건 잘 알려진 이슈입니다. 대표적으로 2019년 미국 정부는 틱톡이 개인정보를 중국 정부에 유출했다며 미국 내 사업을 매각하라는 행정명령을 내린 바 있고, 올해는 일부 중국산 열화상 카메라에 데이터 전송 기능이 있어 개인정보 유출이 우려된다는 보도가 나왔죠. 
 
이번에는 애플이 중국 내 아이폰·맥북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중국 국영기업이 운영하는 서버에 저장하기로 해 논란입니다. 데이터의 통제권이 대부분 중국 정부에 있다는 점도 우려되는 문제죠. 특히 이번 문제가 크게 보도되는 건 애플이 원래 철저한 고객 프라이버시 정책을 갖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각국 정부가 범죄 수사를 위해 개인정보를 요청해도 거절하곤 했거든요.
 
📍애플의 이런 태도는 우리나라에서도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애플은 이동통신사에 광고비를 떠넘겼다는 의혹으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 대상이 됐는데, 공정위 직원들의 현장 조사를 방해해 검찰 수사를 받게 됐습니다. 애플 입장에서는 글로벌 매출의 20%를 차지하는 중국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데요. 글로벌 소비자가 일관성 없는 방침에 반발하기 시작하면 결국 이 부분이 경영 리스크가 된다는 전문가 분석도 나옵니다. ‘차이나 리스크’라고 하죠.
by 정인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