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시장이 이렇게 크다고? 

글, JYP

동물병원이 더 가까워질 수 있어요

국토교통부가 건축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 하겠다고 밝혔어요. 개정안에는 300㎡ 미만 소규모 동물병원, 동물미용실 등을 제1종 근린생활시설로 분류하겠다는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개정안이 통과되면, 전용주거지역에도 소규모 동물병원이나 동물미용실이 들어올 수 있어요. 


반려동물 인구는 점점 많아지고 있어요

동물병원, 동물미용실 등은 제2종 근린생활시설로 분류돼왔는데,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많아지는 등 생활문화가 달라져 개정안을 만들게 됐습니다. 작년 기준, 전체 가구 중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가구 비중은 25.4%(602만 가구)에 달합니다. 반려견은 545만 마리로 1년 만에 5.2% 늘었고, 반려묘는 254만 마리로 12.7% 늘었어요.


관련 시장도 커지는 중이에요

2027년에는 국내 펫시장 규모가 6조 원까지 커질 거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전 세계적인 트렌드라, 글로벌 반려동물 관련 산업도 2027년에 3,500억 달러 규모가 될 거라고 해요. 기업들은 펫푸드는 물론, 펫 전용 의류, 유모차, 샴푸, 가구, 보험, 전자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반려동물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어피티의 코멘트
  • JYP: 반려동물 전용 제품이 유난히 비싸, ‘펫택스’라는 말이 나오기도 해요. 2022년, 농림축산식품부가 조사한 반려동물 마리당 월평균 양육비는 15만 4천 원에 달합니다. 병원비도 매달 평균 6만 1천 원씩 나온다고 해요. 한편, 정부는 대선 공약에 따라 빠르면 올해 말부터 동물병원 진료비에 대한 부가세를 면세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중이에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