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되는 돈 이야기 

머니칼럼

돈 벌기[#GRWM 재무제표] 순이익과 PER로 재무제표 읽기




기업이 얼마나 사업을 잘하는지, 돈을 잘 벌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재무제표 읽기! 

탄탄한 기업에 투자하고 싶다면 선택이 아닌 필수겠죠.


오늘은 손익계산서 읽기의 마지막 단계, 순이익으로 투자하는 전략에 대해 알아볼게요. 

먼저 지금까지 배운 내용부터 복습하고 시작할까요? 



손익계산서 읽을 때

체크리스트


☑️ 매출액: 치킨집에서 치킨 한 마리를 2만 원에 100마리를 팔았습니다. 매출액은 2만 원에 100을 곱한 200만 원입니다.

☑️ 매출원가: 치킨을 만드는 데 들어간 원가도 있겠죠. 닭고기, 튀김가루, 식용유 등이 있을 거예요. 이걸 매출원가라고 합니다.  

☑️ 매출총이익: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금액을 말합니다. 

☑️ 판관비: 직원 월급, 가게 임대료 등 치킨집 영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의미합니다. 판매비와 관리비를 줄여서 ‘판관비’라고 불러요.

☑️ 영업이익: 2만 원짜리 치킨을 팔아서 매출원가, 판관비를 제외하고 4천 원의 이익을 남겼습니다. 이 4천 원이 바로 영업이익이에요. 기업이 주된 영업활동(aka.본업)을 통해 얻은 이익을 뜻하죠.


*재무제표를 더 알고 싶다면?

이 영상을 확인하세요.



순이익도 중요하다


영업이익이 플러스라고 하더라도 실제로 그 금액만큼 기업이 이익을 남겼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본업 외의 이익이나 손실이 있는지 계산해봐야 하거든요. 벌어들인 소득에 따라 법인세를 얼마나 내야 하는지도 고려해야 하고요. 


본업 밖의 영역에서 발생한 영업외손익, 금융투자손익을 더하거나 뺀 다음, 법인세까지 떼고 난 금액이 기업이 순수하게 남긴 이익, 순이익입니다. 

분기보고서에서는 ‘이번 분기의 순이익’이라고 해서 당기순이익이라고 기록되죠.


그렇다면 영업이익과 순이익 중 어떤 지표가 투자할 때 중요할까요? 

보통은 기업의 재무제표가 발표되면 매출액과 영업이익만 살펴보곤 하지만 순이익도 주목해야 합니다. 기업이 본업에서만 돈을 벌어오는 게 아니니까요. 


예를 들어볼게요. 국순당은 2015년 ‘가짜 백수오’ 사태가 발생한 이후 5년간 영업손실을 기록했습니다. 

결국 상장폐지 여부를 심사하는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에 오르게 됐죠.


위기 속에서 국순당을 살린 건 본업 외의 이익이었습니다. 금융투자 수익과 외환 자산으로 인한 수익이 발생해 큰돈을 벌었거든요. 

당기순이익도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본업 외의 다른 곳에서 이익이 발생해 본업의 손실을 메꾼 거예요. 


영업외이익과 금융투자이익이 순이익을 지탱하는 동안, 국순당은 영업손실에서 영업이익으로 전환하며 상장폐지의 기로에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PER로 따져보자

저평가, 고평가


주식 투자를 통해 수익을 내려면 낮은 가격에 사서 높은 가격에 팔아야 합니다. 

그러려면 기업의 가치가 주가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저평가된 주식’을 발굴해야겠죠. 


어떤 주식이 저평가돼있는지는 PER을 통해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PER은 Price Earning Ratio의 약자로, 주가수익비율을 뜻해요. 

이번에도 사례를 통해 차근차근 알아볼게요.


아파트가 두 채가 있습니다. 둘 다 월세 100만 원을 받아 연 수익 1,200만 원을 창출할 수 있어요. 그런데 두 아파트의 가격은 꽤 차이가 큽니다.

A 아파트는 10억 원, B 아파트는 2억 원이에요. 매년 버는 돈은 같은데, 두 아파트의 가치가 크게 다르네요. 좀 더 정확하게 비교해볼게요.


  • A 아파트: 10억 원 / 1,200만 원 = 83.33
    👉 아파트의 가치가 연 수익의 83.33배입니다. 
  • B 아파트: 2억 원 / 1,200만 원 = 16.67
    👉 아파트의 가치가 연 수익의 16.67배입니다.


B 아파트는 상대적으로 저평가돼있고, A 아파트는 상대적으로 고평가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B 아파트는 연 수익의 16.67배를 지불하면 살 수 있지만, A 아파트는 연 수익의 83.33배를 줘야 구매할 수 있으니까요. 


여기서 16.67, 83.33이 각 아파트의 PER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식도 비슷합니다. 

‘기업의 현재 가치(시가총액)’를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으로 나눈 값이 PER이죠. 

부동산이든, 기업이든, 국가별 주가지수든 PER이 낮으면 저평가, PER이 높으면 고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PER =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국내 상장기업의 경우, PER이 높은 기업(투자자의 기대치가 높아 시가총액이 순이익 대비 큰 기업)이 큰 기대를 충족시키는 것보다 PER이 낮은 기업(투자자의 기대치가 낮아 시가총액이 순이익 대비 작은 기업)이 작은 기대를 충족시키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물론 어떤 기업인지 확인하지 않고 PER이 낮은 곳에 투자하라는 뜻은 아닙니다. 

투자하기 적절한 타이밍을 잘 모르겠다면 PER을 찾아보고, 낮을 때 매수하는 식으로 활용해볼 수 있어요. 



투자 시뮬레이션 ①

PER 낮은 기업으로


분기보고서를 통해 재무제표가 나오는 달 말일에 PER이 가장 낮은 기업 20곳의 주식을 매수해서 다음 분기 재무제표가 나오는 달 말일에 매도합니다. 

그런 다음 다시 저PER 기업을 찾아 매수해 갈아타는 과정을 14년간 반복했습니다. 이 방법을 ‘저PER 전략’이라고 부를게요. 


14년간의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를 표로 정리했습니다. 저PER 전략의 연 복리수익률이 28.5%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저 PER 전략, 2007.1~2020.12

* MDD (Maximum Draw Down, 최대낙폭)


국내 증시에서 PER이 낮은 기업 20곳의 목록입니다.

* 참고: 주가는 2021년 2월 10일 종가입니다.



투자 시뮬레이션 ②

순이익 증가율이 높은 기업으로


PER 대신 ‘순이익’만 두고 투자 시뮬레이션을 돌려도 비슷한 결과가 나옵니다. 

재무제표가 나오는 달 말일에 ① 직전 분기 대비 순이익 증가율 ② 전년 동기 대비 순이익 증가율, 이 두 지표를 기준으로 순위를 정하고, 평균 순위가 가장 높은 20개 기업의 주식을 매수합니다.


이 작업을 매 분기마다 반복해서 14년간 투자했더니 이런 결과가 나왔어요.

고 순이익 증가율 전략, 2007.1~2020.12

* MDD (Maximum Draw Down, 최대낙폭)


연 복리수익률이 29%로, 원금 1억 원으로 투자를 시작했다면 14년 만에 35.5억 원이 됩니다. 

순이익이 빠르게 증가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도 효과적인 전략이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죠.


2020년 3분기 분기보고서 기준, 당기순이익이 가장 많이 성장한 기업 20곳 리스트입니다.

 * 참고: 주가는 2021년 2월 10일 종가입니다.


✅ 체크포인트

  1. 시뮬레이션상으로 당기순이익 대비 시가총액이 작은 저 PER 주식에 투자했을 때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2. 순이익직전 분기 대비 또는 전년 동기 대비 많이 증가하는 기업도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이 빠르게 증가하는 기업의 수익률이 시뮬레이션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걸 확인해봤습니다. 

재무제표를 볼 때 뭐부터 봐야할지 헷갈린다면, 이 세 가지 지표부터 먼저 살펴보세요. 세 가지 지표가 다 잘 나온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죠?


보다 빠르게 지표를 확인하고 싶다면, 네이버 금융 기업별 종목분석에서 PER 값과 최근 영업이익, 순이익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삼성전자의 경우, 이렇게 확인할 수 있답니다. 



매일 아침 찾아오는 나를 위한 경제 뉴스레터
MONEY LETTER





선택 취소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어피티(법인명: 주식회사 포브미디어)의 뉴스레터 서비스인 머니레터 발송을 위해 이메일, 이름(또는 닉네임)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머니레터를 통한 뉴스 정보 제공에 활용되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수신 거부는 머니레터 메일 내 최하단 '수신거부는 여기를 눌러주세요' 링크를 클릭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가 수신거부를 요청한 경우, 해당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