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돌아가는 소식을 한눈에 

경제뉴스

금융[2023. 07. 04] 새마을금고의 하이리스크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어요

최근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요. 1년 6개월 만에 연체율이 3%대에서 6%대 중반으로 높아졌습니다. 지점마다 연체율이 다른데, 일부 지점의 연체율은 30%를 넘어섰다고 해요. 새마을금고는 상호금융조합에 속하는데요, 상호금융조합의 1분기 평균 연체율이 2.42%였다는 걸 감안하면 눈에 띄게 높은 수치예요.

새마을금고는 상호금융조합에 속해요

상호금융조합은 지역농협, 지역수협, 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등을 가리킵니다. 제2금융권으로 분류돼요. 상호금융조합은 서민금융기관으로 분류돼, 조합원이 되면 3천만 원 이하의 예금에 대한 이자소득세와 농특세를 면제해 줍니다. 시중은행보다 금리도 높아서 금융 소비자들이 더 많은 이자 소득을 얻기 위해 상호금융조합을 찾곤 해요.

구조적 문제라는 얘기도 나와요

새마을금고가 금융당국의 관리·감독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나오고 있어요. 다른 상호금융조합은 금융당국의 감독을 받고 매 분기 연체율을 공개하지만, 새마을금고는 행정안전부의 감독을 받으며 연말 연체율만 공식적으로 관리받고 있거든요. 한편, 정부는 연체율이 높은 새마을금고 지점 30곳을 특별점검하겠다고 해요.

어피티의 코멘트

정인: 새마을금고에서는 상호금융조합 중 유일하게 자금 이탈세가 나타나는 중입니다. 유동성 문제가 생기면, 최악의 경우 고객의 예금을 전부 돌려주기 어려워집니다. 이미 유동성 비율이 50%를 밑도는 새마을금고 지점이 늘어나는 중이에요. 


매일 아침 찾아오는 나를 위한 경제 뉴스레터
MONEY LETTER





선택 취소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어피티(법인명: 주식회사 포브미디어)의 뉴스레터 서비스인 머니레터 발송을 위해 이메일, 이름(또는 닉네임)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머니레터를 통한 뉴스 정보 제공에 활용되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수신 거부는 머니레터 메일 내 최하단 '수신거부는 여기를 눌러주세요' 링크를 클릭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가 수신거부를 요청한 경우, 해당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