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로그를 작성하고, 기고해보세요!


머니로그를 보내주시면, 사연을 선정해

돈 고민에 대한 솔루션을 보내드릴게요

아래 버튼을 클릭하면

기고 양식이 바로 다운로드 됩니다! 

2,000~3,000만원1천만 원 모으기가 목표인 3년 차 회사원의 머니로그

Photo by Bewalrus on Envato

낭만을 찾아 떠나는 여행과 귀엽고 아기자기한걸 좋아하는 자유로운 영혼이에요.


기본정보

뿌요(만 27세)

사무직 회사원 / 운영팀 / 3년 차 / 사원

연봉: 2,880만 원

월평균 실수령액: 200만 원

금융성향: 숲을 보는 앵무


지출내역

월평균 고정비

·교통비: 10만 원~20만 원(주유비)

·통신비: 5만 원

·유료 구독 서비스: 3,900원(카카오톡 이모티콘), 4,900원(지니뮤직, 6개월 7,400원)

·보험: 20만 원

·적금: 60만 원

·연금: 20만 원

·모임비: 10만 원


월평균 변동비

·식비: 20만 원

·쇼핑: 10만 원

·문화생활: 5만 원

·자기계발: 헬스 10만 원


연간 비정기 지출비

·연간 여행 경비: 200만 원(거의 모임돈으로 여행경비 사용)

·연간 경조사 비용: 50만 원

자산정보
·예·적금: 청년희망적금(550만 원),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640만 원)

·투자: ISA(12만 원, 잠시 납입 정지 상태), 국내주식(430만 원)

·퇴직연금: IRP(180만 원, 잠시 납입 정지 상태), 교직원공제회(620만 원)





 돈 관리 방법


  • 월급 관리
    • 월급이 들어오면, 각각의 용도에 맞게 통장으로 이체합니다(적금, 보험비, 모임비 입금)
    • 자동차보험료(70만 원)는 6개월 무이자할부로 결제하고, 운동(헬스)은 6개월마다 3개월 무이자할부로 결제하고 있습니다
    • 월급에서 고정비로 나가는 비용을 제외하고 남은 돈으로 생활을 해요
    • 아침과 저녁은 집에서 해결하고 점심은 도시락을 먹으나 매일 점심에 카페에 가요. 점심 식비 결제는 지역화폐를 사용하려고 노력 중이에요


 
일주일 머니로그 시작



프롤로그 

이번 주 주말에는 여행이 계획되어 있어 어느 정도 비용을 써야겠다 생각은 하고 있지만 너무 과소비를 하지 않는 것이 목표입니다. 




DAY 1. 월요일


PM 14:00 – 친한친구가 최근 힘든일이 있어 카카오톡 선물하기고 19,800원짜리 딸기 선물

큰 선물은 준건 아니지만 마음이 따뜻해졌다.


PM 20:00 – 운동(헬스) 6개월 650,000 

3개월 무이자할부로 결제, 꾸준히 헬스를 하고 있었는데 3개월씩 결제하다가 이번엔 6개월로 결제했다. 


DAY 1 TOTAL: 669,800원




DAY 2. 화요일

PM 12:00 – 13,500원

친구 생일이여서 점심에 카페에 갔다가 커피랑 쿠키는 내가 결제했다.



DAY 2 TOTAL : 13,500원




DAY 3. 수요일


DAY 3 TOTAL : 0원




DAY 4. 목요일

DAY 4 TOTAL : 0원




DAY 5. 금요일


12PM – 15,500원

직장동료와 점심으로 칼국수와 커피 먹음


DAY 5 TOTAL : 15,500원




DAY 6. 토요일

엄마랑 이모랑 여수여행 ! 여수케이블카와 선상불꽃투어를 인터넷 예매했음

나머지 식비랑 숙박비용은 엄마랑 이모가 계산


DAY 6 TOTAL: 177,000원 




DAY 7. 일요일


DAY 7 TOTAL: 0원





일주일 총지출

 

자기계발: 650,000원

여가/기타: 196,800원

식비: 29,000원


총 875,800원




에필로그

식비는 생각보다 많이 안썼지만 자기개발 비용에서 큰돈을 쓰면서 다음 달 할부값이 조금 부담이 되었어요.

자기개발도 어느 정도 돈을 모으고 사용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여행에서도 꽤 큰 돈을 지출했지만 가족들과 함께한 여행이기에 여행에서 쓴 돈은 아깝지 않고 만족합니다!




 돈 관련 고민과 어피티의 솔루션


Q. 앞으로 돈관리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앞으로 어떤 식으로 돈 관리를 해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여기서 생활비를 줄이고 적금을 더 늘리는 게 좋은 방법일까요?


A. 지금은 착실히 ‘모을 때’입니다


잘하고 있는 것들을 알아볼게요


뿌요 님은 나만의 돈관리 기준을 세우고 실천하고 있지만, 그 방법에 대해 확신이 들지 않아 고민이신 것 같아요. 이럴 때, 부족한 점부터 짚고 넘어가는 것보다는 현재 어떤 것들을 잘하고 있는지 살펴보실 필요도 있어요. 뿌요 님 재테크 방법의 장점을 짚어볼게요.

  • 청년희망적금,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등 청년이 적용받을 수 있는 정책금융상품을 잘 찾아서 이용하고 있어요
  • 노후 자금 마련, 절세 및 투자를 위해 ISA, IRP도 개설해 돈을 넣어두었어요
  • 월급이 들어오자마자 목적별 통장에 돈을 이체해 계획적으로 지출해요
  • 상품권 가치에 비해 저렴하게 살 수 있는 지역화폐를 활용해 소비해요
  • 집밥과 도시락으로 외식비 지출을 최소화하고 있어요


뿌요 님은 본가에 거주하는 주거환경, 청년(만 19세~만 34세)이라는 연령대의 조건, 거주하는 지역의 복지사업 등 주어진 조건을 잘 이용하시는 분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이런 정보를 잘 찾아내는 것도 능력이지만, 그 정보를 바탕으로 직접 행동하는 것은 또 다른 차원의 일이랍니다.


정보력은 물론, 행동력까지 잘 갖춘 분인 만큼, 재테크 방법을 조금만 다듬어보면 더 효능감을 느끼며 돈관리를 해나갈 수 있을 거예요.


지금은 더해가는 것에 집중할 때예요


뿌요 님의 돈 관련 목표는 비상금 1천만 원 모으기예요. 이 목표는 청년희망적금 만기에 모은 돈의 90%를 비상금 전용 통장으로 이체해 절반 정도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는 6개월 정도의 만기가 짧은 적금에 가입해 돈을 모아 목표 달성에 다가갈 수 있어요.


당연한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는데요, 돈을 ‘모으는’ 과정이 원래 그렇습니다. 수익률(%)보다는 원금을 더해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시간도 오래 걸리고 재미도 별로 없어요. 이 사실을 받아들이고, 이 기간을 최대한 단축하는 방법을 생각해야 합니다.


몇몇 재테크 전문가는 본가에 거주하는 미혼에게 월급의 80%를 저축하라고 권합니다. 쉽지 않은 일인 건 사실이에요. 그렇지만, 이 기간을 견뎌야 안정적인 상태에서 나의 재테크 수익률(%)을 관리하는 ‘넥스트 스텝’으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지금은 월급의 절반 이하를 저축하고 계시는데요, 생활비를 줄여 월급의 절반 이상을 적금으로 저축하는 걸 최소 목표로 잡아야 합니다. 본가에 거주하는 환경은 사회초년생이 돈을 모으기에 가장 좋은 황금기이기 때문에 이 타이밍을 100%, 아니 200% 활용해보세요.



장기 목표를 더 선명하게 세워보면 어떨까요?


장기목표를 더 선명하게 세워보시는 것도 방법이에요. 비상금과 시드머니를 다 모은 상태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재무적인 목표를 향해 돈을 불려 갈지 상상해보세요. 어피티가 머니로그를 통해 자주 소개했던 ‘낙원계산기’도 다시 한번 추천 드립니다.


내가 살고 싶은 집의 시세를 알아보고, 해당 지역의 규제를 확인한 뒤, 내 집을 마련하기 위해 유형(매매, 청약, 경매)별로 필요한 최소 현금(대출금을 제외하고 내가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돈)을 계산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언제나 목표가 선명해야 그 과정에 이유가 생기고, 동기 부여가 돼요. 뿌요 님은 재테크 기초체력이 잘 잡혀있는 분인 만큼, 충분히 잘 해내실 수 있을 거예요. 지치지 않도록 스스로를 다독여가며 걸어가시는 것도 잊지 마시고요!


0

매일 아침 찾아오는 나를 위한 경제 뉴스레터
MONEY LETTER





선택 취소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어피티(법인명: 주식회사 포브미디어)의 뉴스레터 서비스인 머니레터 발송을 위해 이메일, 이름(또는 닉네임)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머니레터를 통한 뉴스 정보 제공에 활용되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수신 거부는 머니레터 메일 내 최하단 '수신거부는 여기를 눌러주세요' 링크를 클릭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가 수신거부를 요청한 경우, 해당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