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로그를 작성하고, 기고해보세요!


머니로그를 보내주시면, 사연을 선정해

돈 고민에 대한 솔루션을 보내드릴게요

아래 버튼을 클릭하면

기고 양식이 바로 다운로드 됩니다! 


2,000만원 이하대학생 때 놀기 vs. 저축 하기, 대학생의 머니로그


코로나 전, 친구들이랑 삿포로 여행 갔을 때 사진이에요! 여행 가서 풍경 사진 찍는 걸 좋아해요. 



기본정보

미온느

대학생 / 2학년 / 아르바이트

월평균 실수령액: 110~120 만 원

금융성향: 현실적인 라쿤, 숲을 보는 앵무


지출내역

월평균 고정비

·교통비: 75,000원

·유료 구독 서비스: 2만 원(유튜브프리미엄, 넷플릭스, 왓챠, 스포티파이 등)

·자기계발&미용: 4~5만 원


월평균 변동비

·식비: 2~30만 원

·쇼핑: 2~30만 원(보통 옷, 책 사는데 사용)

·유흥비: 10만 원


자산정보

·비상금: 50만 원

·적금 자동이체용 계좌: 150만 원

·예·적금: 300만 원

·주식: 40만 원






 






 돈 관리 방법


  • 월급 관리
    • 아르바이트 월급이 들어오면 한 달 지출을 계획하는 시간을 가져요. 
    • 가계부를 쓰고 있고 예산과 결산은 매달 하고 있어요. 가계부는 노션에 쓰고 뱅크샐러드나 계좌별 앱으로 어디에 얼마큼 썼는지도 확인해요.
    • 식비가 가장 변동이 커요. 매월 총 식비를 정해서 그 안에서 쓰는 편인데 가끔 친구들을 만날 때는 쓰는 돈이 매번 달라서 관리가 어려워요. 예산보다 더 쓰거나 덜 쓰는 경우가 많아요.


 일주일 머니로그 시작




* 인스타그램 로그인 없이
< , > 버튼을 눌러 일주일 머니로그를 구경해보세요!



 돈 관련 고민과 어피티의 솔루션


Q. 놀 수 있을 때 놀기 vs. 저축 습관 기르기, 고민돼요! 


지금은 휴학 중이라 용돈을 안 받고 아르바이트로 월 110만 원 정도를 벌고 있어요. 이 중 80~90만 원을 써요. 


그러면 20만 원 정도 모으게 되는데요. 남는 돈을 주식에 투자하면 월급이 조금 모자라거나 남지 않아요. 


‘몇 살에 얼마를 벌면 얼마를 써야 한다’라고 정해진 법은 없지만, 주변에서 얼마나 쓰는지 궁금해서 물어보면 답변이 크게 두 종류로 나뉘었어요.


주식엔 투자 안 하고 월 20만 원 정도 남긴다고 가정했을 때예요. 

  1. 놀 수 있을 때 많이 놀고 돈도 써봐야 나중에 놀고 싶은 생각이 안 든다. 대학생 때 한 달에 10~20만 원씩 모아봤자 나중에 취직해서 월급 받고, 모으기 시작하면 지금 모으는 돈은 얼마 안 된다. 
  2. 노는 것도 좋지만 모으는 습관이 중요하다. 취직하면 당연히 지금보단 수입이 늘겠지만 5만 원씩이라도 모으는 습관을 기르는 게 좋다. 


복학하면 아르바이트 시간을 줄여야 해서 월급도, 지출도 자연스럽게 줄어들 거예요. 아마 쇼핑비를 줄일 것 같은데요. 수입이 적어지면 예산을 줄여서라도 쇼핑이나 친구와의 모임을 계속해나가고 싶어요. 


쇼핑을 줄이고 여행도 안 가고 돈을 계속 모으는 게 맞을까요? 아니면 월급을 조금씩 모아서 여행으로 거의 다 쓰더라도 놀 수 있을 때 노는 게 맞을까요?



A. 쓸 돈 저축을 따로 관리해보세요!


재테크계의 헤르미온느처럼 일찍부터 부지런히 돈관리를 해오고 계시는군요! 미온느 님의 이야기가 많은 직장인 분들에게 자극이 될 것 같아요. 정말 멋지다는 말씀을 먼저 드리고 싶어요.


“아르바이트는 돈을 벌고, 모으고, 쓰고, 불리는 일련의 과정을 경험해보는 첫 단추입니다.”

<우리 아이 평생 경제력 이렇게 가르칩니다> p.41, 좋은습관연구소, 김영옥


얼마 전, 머니로그 솔루션에 소개했던 책에도 아르바이트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이 있어요. 책의 저자는 아르바이트가 성인이 되고 부모님으로부터 독립해 경제력을 만들어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합니다.


미온느 님은 이미 본인의 힘으로 소득을 만들고, 번 돈을 다 소비에 써버리지 않고 저축하거나 투자하면서 경제력을 갖춰나가고 있어요.


번 돈이 얼마가 됐던, 이렇게 돈을 버는 힘과 아는 힘, 굴리는 힘을 만드는 건 정말 중요합니다. 남들보다 일찍 이 과정을 경험했으니 본격적으로 경제생활을 하기 시작하면 큰돈도 잘 관리하실 것 같아요.

 

저축 습관을 유지해가는 게 중요해요


돈을 지금처럼 모아야 할지, 놀 수 있을 때 잘 쓰는 게 좋을지 고민이라고 하셨는데요. 월 소득의 20~30%를 저축한다고 생각하고, 쓸 돈 저축과 목돈 저축을 분리하시는 게 좋겠어요.


저축은 금융상품에 따라 분류하는 것보다 목표에 따라 분류하는 게 좋아요. 저축으로 모은 돈을 여행, 학업 이수, 경조사 등에 지출한다면, 그 저축은 ‘쓸 돈 저축’입니다. 종잣돈 모으기 등 재무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목돈을 모아두는 건 ‘목돈 저축’이에요.


돈은 적재적소에 잘 사용하는 것도 중요해요. 여행, 쇼핑 등 단기적으로 쓸 돈을 따로 관리해보세요. 쓸 돈 저축용 통장을 새로 개설해 만기 된 적금 금액을 이체하면 더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어요.


물론 번 돈을 모두 쓰고 싶은 마음도 이해가 돼요. 그래도 돈관리 습관을 지금처럼 좋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저축을 유지하는 게 좋아요.


대학을 졸업할 때 1천만 원의 종잣돈을 모으는 것을 목표로 해보면 어떨까요? 직장생활을 하며 그만큼의 금액을 더 빠르게 모을 수 있다고 해도, 미온느 님의 자산을 만들어가는 데 든든한 지원군이 될 거예요.


 

0

MONEYLETTER
27만 명이 구독하는 경제 뉴스레터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아침 6시에
당신을 위한 돈 이야기를 메일함으로 보내드려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어피티(법인명: 주식회사 포브미디어)의 뉴스레터 서비스인 머니레터 발송을 위해 이메일, 이름(또는 닉네임)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머니레터를 통한 뉴스 정보 제공에 활용되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수신 거부는 머니레터 메일 내 최하단 '수신거부는 여기를 눌러주세요' 링크를 클릭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가 수신거부를 요청한 경우, 해당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광고 및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어피티의 뉴스레터 서비스는 광고성 정보가 포함된 이메일과 포함되지 않은 이메일을 따로 발송할 수 없어 '광고성 정보 수신 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광고가 포함된 이메일은 메일 제목에 '(광고)'를 넣어 발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