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 사태, 진짜 문제는 이것

글, JYP


ELS 사태 재발 방지 대책이 나왔어요

ELS 사태, 기억하시나요? 홍콩 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주가연계증권(ELS)에 투자한 개인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보았던 사태였는데요. 이 상품에 가입한 투자자들이 대부분 고령자에, 가입 권유 단계에서 금융사로부터 제대로 된 설명을 듣지 못했다는 점이 문제가 됐었어요. 금융당국은 해당 ELS를 판매한 은행을 대상으로 조사에 나섰고, 재발 방지를 위해 제도를 개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었죠. 최근 그 후속 조치가 발표됐어요. 


금소법을 더 강화하는 방향이에요

지난 14일, 금융위원회는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령 및 감독규정 개정안을 입법예고 하겠다고 밝혔어요. 금융회사 직원이 고난도 금융투자상품 판매 시 투자자의 정보·성향을 확인하도록 한 요건을 강화하고, 그 과정에서 특정 답변을 유도하거나 대면 영업 후 비대면 계약을 권유하는 것을 부당권유로 보고 금지하겠다는 등의 내용이에요. 이외에도 고난도 금융투자상품 판매시 ‘손실’ 위험을 핵심 설명서 최상단에 우선 기재하게끔 바꾸겠다고 해요. 이 상품에 투자해 얻을 수 있는 이익을 말하기 전에, 예상되는 손실 가능성부터 알려야 한다는 거예요. 


ELS 사태, 아직 끝나지 않았어요

금융당국의 재발 방지 조치와는 별개로, 홍콩 ELS 사태 피해자들은 상품을 판매한 은행에 총 36억 원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어요. “은행들이 해당 ELS의 위험성을 알면서도 실적을 위해 무리하게 팔았다”는 게 피해자들의 입장이에요. 투자자에게 불리한 정보를 충분히 알리지 않고, 오히려 고위험 상품임을 숨긴 채 실적 중심으로 영업을 이어온 금융사들의 구조적 문제가 이번 사건의 본질이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요.

JYP 한마디

🚨 금융소비자보호법, 줄여서 ‘금소법’은 2021년 3월 시행됐어요. 소비자를 보호하겠다는 목적으로 만들었지만, 현실에서는 여전히 형식적인 절차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면 금융사의 직원 핵심성과지표(KPI)가 소비자 중심으로 바뀔 필요가 있어요. 실제로 홍콩 ELS 사태가 불거지기 직전, 일부 금융사가 KPI 배점 중 40% 가까이를 ELS에 배정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기도 했어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