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우영우가 만들어준 사상 최대 한류 흑자

글, 정인


음향·영상 서비스를 많이 수출했어요

지난해(2022년) 우리나라가 ‘음향·영상 서비스’로 해외에서 벌어들인 수익은 17억 200만 달러입니다. 2021년 대비 47.9% 늘었어요. 반면 해외에서 우리가 사들인 음향·영상 서비스 금액은 4억 6,700만 달러입니다. 차익을 계산하면 총 12억 3,500만 달러(약 1조 6,000억 원)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6년 이후 최대 규모 흑자입니다. 


한한령을 한 고개 넘겼어요

2000년대 중국과 일본에서 우리나라 드라마가 인기를 끌면서 ‘한류(韓流)’라는 말이 생겨났어요. 드라마와 K-Pop을 중심으로 이어지던 한류는 2017년 이후 한한령으로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나마 음원은 한한령의 규제를 받지 않아서 BTS 등 한국 가수의 음원 수출은 끄떡없었다고 해요.


국내 제작사의 작품이 크게 기여했어요

음향·영상 서비스 수지 🏷️  흑자에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우영우)>의 기여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오징어게임>은 저작권이 넷플릭스에 있지만, <우영우>는 국내 제작사가 저작권을 갖고 있어 금전적인 기여가 훨씬 크다고 해요. 국내 제작사의 사업 실적이 국가 경제에 더 중요한 만큼, 우수한 제작 환경을 형성할 필요도 있을 거예요.

어피티의 코멘트
  • 정인: 우리나라 저작권법상 영상은 감독이나 시나리오 작가 등 창작자가 아니라 제작사나 투자사에 저작권이 가도록 되어 있습니다. (🗝️) 그렇다 보니 영상이 흥행하더라도 영상에 참여한 창작자들은 추가적인 저작권료를 받지 못하는 것이 문제라고 해요. 관련 저작권법 개정안은 국회에 머무르고 있어요.

#서비스 수지 🏷️

‘수지’는 한 나라가 다른 나라와 경제적 거래를 나눈 결과 발생한 수입과 지출을 뺐을 때 얼마인지 따져보는 거예요. 장사를 잘 해서 흑자를 보면 수지 흑자, 수입이 더 많아서 적자를 보면 수지 적자라고 합니다.


서비스 수지는 서비스를 사고 팔아 발생한 수입과 지출의 차이를 뜻해요. 서비스 수지에는 운수·여행·통신서비스·보험서비스·특허권 등 사용료·사업서비스·정부서비스·기타서비스 8개 항목이 포함됩니다. 


우리나라 서비스 수지는 보통 적자예요. 해외 교육 서비스나 해외 여행, 해외 로열티 지급 등의 서비스 지출이 굉장히 많거든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