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3분의 1은 AWS를 이용해요
지난 20일, 아마존웹서비스(AWS)에서 대규모 서비스 장애가 발생했다가 15시간 만에 복구됐어요. 장애가 발생했을 때 AWS가 제공하는 클라우드에 의존하는 전 세계의 수많은 웹사이트와 앱, 서비스는 마비되었어요. AWS는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의 30%를 점유하고 있고,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우리나라 기업의 AWS 이용 비중은 60%가 넘어요. 그런 만큼 클라우드가 마비되면 사실상 인터넷이 멈춘다고 봐야 해요. 앱도, 결제도, 로그인도 모두 클라우드 위에서 돌아가기 때문이에요.
대응이 느렸다는 지적이 나와요
데이터센터에 처음 장애가 생긴 건 19일 밤 11시 49분으로, 이후 문제 원인 파악까지 75분가량 소요됐어요. 2021년 12월에는 5~10분 이내로 문제를 감지했고, 2023년 6월에는 약 18분 만에 문제를 인지, 복구를 시작했던 것과 비교해 대응이 다소 느려졌어요. 외신에서는 계속해서 분석기사가 나오고 있는데요, 2022년부터 시작한 대규모 인력 감축 또한 원인 중 하나로 지목돼요. 아마존은 2027년까지 AI로 업무를 자동화하며 직원 30%를 더 감축, 최대 16만 명을 첨단기술로 ‘대체’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해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