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쯤 돌아보는 한미 금리차, 정말 괜찮을까?

글, 정인


금리차 크면 환율이 올라요

미국이 두 번 연속 금리를 인하한 10월 전까지 미국 기준금리(3.75~4.00%)와 우리나라 기준금리(2.50%)는 2.0%p까지 벌어져 있었어요. 원래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미국의 기준금리보다 낮으면 곤란해요. 더 높은 이자를 찾아 돈이 미국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이에요. 게다가, 원화를 환전해 달러로 바꾸려는 수요가 늘며 환율이 비싸지죠. 환율이 오르는 만큼 수입물가와 소비자물가가 오르고요. 현재 고환율에도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어요. 현재는 차이가 1.5%p로 줄어들었지만, 아직 갭이 커요


제때 움직이지 못했다면 부동산 때문이죠

지난해부터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인상 주장과 인하 주장 모두에게 비판을 듣는 중이에요. 미국과의 금리차를 줄이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거나, 경기를 살리기 위해 금리를 인하하거나 방향을 분명히 해야 하는데 다소 우유부단하다는 거예요. 사실 ‘한국은행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것은 가계 부채와 부동산 과열 때문이에요. 금리를 올리면 주택담보대출을 잔뜩 받은 가계의 빚 부담이 커지고, 금리를 내리면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부동산을 구매하려는 수요가 커져 가계부채 자체가 늘어나요. 지금도 사정은 별반 달라진 것이 없어, 한국은행은 이번에도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신호를 시장에 주지 않기 위해 ‘동결’을 선택할 것 같아요

정인 한마디

👑 지금 우리나라, 실질금리로 따지면 사실상 ‘제로금리’ 상황이에요. 왜냐하면 10월 명목 기준금리가 2.5%인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4%거든요.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빼면 0.1%로, 제로에 가깝죠. 지금처럼 ‘제로’에 가까우면 금리를 좀 더 내려도 체감 효과는 거의 없어요. 금리를 올리면 부담감이 확 올라갈 테고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