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단 님의 돈 관련 목표와 고민
작년 8월에 첫 직장에 입사했어요. 취업이 조금 늦어진 편이라 돈 관리에 관한 고민이 많아요. 돈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또 어떻게 소비하는 게 현명할지 늘 고민이에요. 늦게 시작한 만큼 더 알차고 효율적으로 자산을 쌓고 싶어요.
우선 방을 구하기 위한 보증금 마련부터 시작해 보려 해요. 퇴직금이 나오는 시점에 맞춰서 서울에 있는 다른 회사로 이직을 준비 중인데, 서울에서 방을 구하려면 보증금만 해도 1,000만 원 정도는 필요하겠더라고요. 현재 월 15만 원씩 투자용으로 돈을 모으고 있는데, 이걸 보증금 마련을 위한 저축으로 돌려야 할까요? 아직 어떤 상품에 투자할지 확신이 없어서 막연하게 모으는 중이거든요. 이 돈을 어떻게 운용하는 게 좋을까요?
더불어, 지금 제 소비 패턴에 대한 평가도 궁금해요. 급여에서 적금과 예금을 먼저 떼고, 남은 돈으로 생활하고 있는데요. 저축액을 더 늘려야 할지, 불필요한 소비는 없는지 조언을 듣고 싶어요. 늘 어피티 머니레터를 통해 많은 도움 받고 있어요!
달단 님을 위한 어피티의 솔루션
달단 님, 취업이 늦어서 돈을 모으는 것도 늦어졌다는 생각이 마음을 자꾸 무겁게 하는 것 같아요. 하지만 재무관리는 시작하는 시기보다, 꾸준히 해 나가는 힘이 더 중요합니다. 당장은 또래 친구들보다 늦은 것처럼 느껴지더라도 명확한 목표를 갖고 지속적으로 실행해 나가면 오히려 더 빠르게, 단단하게 자산을 만들어갈 수 있어요.
달단 님은 이미 기초체력을 잘 갖춘 분이에요. 월 실수령액 220만 원 중 150만 원을 저축해 저축률이 68%에 달하는데, 이게 장기적으로는 굉장히 큰 힘이 돼요. 매년 연봉이 3%씩 오르고(물가상승률 정도로만 올린다는 보수적 가정), 현재의 저축 및 투자 비율을 유지하면서, 연 수익률을 3~7%로 가정하면 10년 뒤 달단 님의 자산은 2억5393만 원(연 수익률 3%)~3억1554만 원(7%)에 달해요.
이렇게 자산을 불려 나가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변수는 ‘원금’의 크기예요. 지금처럼 높은 저축률을 유지하면, 연봉이 오를수록 저축과 투자에 쓰는 원금 자체가 커지겠죠. 그리고 이 원금이 복리 효과를 만나면, 시간이 지날수록 자산 증식 속도는 눈에 띄게 빨라져요. 다시 말해, 지금 달단 님이 하고 있는 ‘높은 저축률 유지’라는 습관이야말로 장기적으로 가장 강력한 재테크 무기라는 뜻이에요.
소비 습관이 괜찮은지도 물어보셨는데요, 달단 님은 소비도 절제돼 있고 규칙적인 편이에요. 이렇게 알뜰하게 소비하는 습관이야말로 나중에 돈 주고도 못 사는 정말 귀한 자산입니다. 이렇게 저축률은 높고, 소비 습관도 잘 잡혀있는데도 불안한 이유는 ‘방향’이 분명하지 않아서예요.
목표를 숫자로 구체화하세요
불안감은 내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 흐릿하게 느껴질 때 찾아오기 쉬워요. 현재의 저축 습관과 소비 성향 모두 좋지만, 내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가 선명해야 성취감을 느끼며 꾸준히 이어갈 수 있어요. 보증금 마련이라는 뚜렷한 단기 목표가 있으니, 단기 목표 달성 후에는 ‘1억 원 만들기’처럼 규모가 크지만, 기한이 명확한 목표를 세우시는 걸 권해드려요. 예를 들어, 이렇게 설정할 수 있어요.
단기적 목표
- 목표: 2026년 n월까지 보증금 1200만 원 마련하기
- 방법: 매월 60만 원씩 적금 납입 + 기존 예·적금 만기 금액 적립
정해진 시점에 반드시 꺼내 쓸 수 있어야 하는, 목적이 명확한 자금이기 때문에 변동성이 있는 상품보다 예·적금, CMA, 단기채 ETF 등 안전자산으로 따로 모아두는 게 좋습니다. 지금 투자용으로 모으고 있는 월 15만 원도, 보증금 목표를 채울 때까지는 안전자산 쪽으로 돌려서 적립하세요. 이렇게 하면 목표 시점에 ‘혹시 손실이 나면 어쩌나’ 하는 불안을 줄이고, 계획대로 방을 구할 수 있습니다.
중장기적 목표
- 목표: 보증금 마련 후 7~8년 안에 순자산 1억 원 달성
- 방법: 보증금 마련 목표 달성 후 매달 투자 금액은 20~30만 원으로 증액, 연 7%대 수익률 목표
달단 님은 이제 막 사회생활을 시작해 연봉을 높여가야 하는 시기죠. 이 시기는 전문가들도 ‘연봉 상승에 투자하는 것만큼 수익률 높은 투자가 없다’라고 할 만큼 중요해요. 다만 연봉이 오를 때, 그에 맞춰 소비가 더 커질 우려가 있어요. 연봉 상승분의 절반 이상은 저축 및 투자에 활용해 원금의 크기를 늘리는 데 집중해 보세요. 중장기적 목표 달성 시점을 한참 앞당겨올 수 있습니다. 이후에는 내 집 마련·노후 준비 등 상황에 맞춘 새로운 목표로 확장할 수 있어요.
달단 님,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돼요
이렇게 구체적인 숫자로 만들어보니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
늦게 출발했다고 해서 결승선에 늦게 도착하는 건 아니에요. 달단 님은 이미 훌륭한 토대를 갖고 있어요. 앞으로의 1년, 3년, 10년이 지난 후 달단 님이 ‘스물여덟 살 때의 내 선택이, 탄탄한 자산을 갖춘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도록, 어피티가 계속 함께할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