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내년에는 사라져요
정부가 2025년 세제개편안에서 ‘청년도약계좌의 이자·배당소득 비과세 혜택’을 올해 말까지만 적용하기로 했어요.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정부가 2023년에 출시한 청년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매달 최대 70만 원까지 저축하면 정부가 기여금을 더해주고, 이자에 대한 세금도 면제해 줬어요. 정부는 이 상품에 대한 세제혜택을 올해 말까지 적용하고 더는 연장하지 않기로 했어요. 단, 올해 말까지 가입한 계좌에 대해서는 만기까지 기존 혜택을 그대로 적용해요.
중복 제도를 정비하기 위해서예요
정부가 청년도약계좌의 세제혜택을 연장하지 않기로 한 건, 비슷한 성격의 정책형 금융상품을 준비 중이기 때문이에요. 이재명 정부의 청년 공약 중 하나인 ‘청년미래적금(가칭)’이 그 주인공이에요. 윤석열 정부가 문재인 정부의 ‘청년희망적금’을 종료하고 ‘청년도약계좌’를 출시했던 것처럼, 정권이 바뀌며 청년 금융상품도 새롭게 교체되고 있는 셈이에요.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청년미래적금은 일정 소득 이하 청년이 적금을 넣으면 정부가 일정 비율을 보태주는 구조예요. 구체적인 내용은 이달 말 발표되는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에 나올 전망이에요.
중복 가입보다는 갈아타기 지원 확률 높아요
청년도약계좌는 만기가 5년으로 긴 편이에요. 그래서 청년미래적금이 곧 출시된다면, 청년도약계좌를 중간에 해지하고 갈아탈 수 있을지, 아니면 둘 다 가입할 수 있을지가 관건일 거예요. 이전 사례를 보면, 청년희망적금은 청년도약계좌와 중복 가입은 불가능했지만, 만기 후 연계 가입(갈아타기)은 허용됐어요. 청년도약계좌도 비슷한 방향으로 정리될 가능성이 있어요. 한편, 최근 청년도약계좌의 중도 해지가 계속 늘고 있어요. 결국 저축을 이어갈 수 있는 환경이 함께 갖춰져야, 이런 정책도 오래 힘을 발휘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