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면제다 면제 아니다 다시 면제다? 트럼프: 면제 아님

글, 정인

곧 ‘반도체 전용 관세’가 생길 거예요

7월 8일까지 미국으로 수출하는 반도체 등 IT제품에 대해 기본관세 10%만 적용되며, 중국 등 일부 국가에 부과되는 최대 125%에 달하는 상호관세는 면제돼요. 다만 미국 정부는 다음 주 안으로 품목별 관세를 발표하겠다는 입장이에요. 더 높은 세금을 물릴 수도 있다는 뜻이죠. 지금도 철강이나 자동차 등은 25% 품목 관세가 적용되고 있어요. 트럼프 대통령이 IT제품에 대한 상호관세 적용을 유예하자 ‘면제된 것 같다’는 보도가 많았는데, 결국 면제는 아니었어요. 혼란이 계속되자 백악관 당국자들이 직접 ‘면제가 아니다’라고 밝혔어요.


삼성과 애플, ‘한숨 돌리지’ 못했어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은 취임 직후부터 지금까지 종잡을 수 없게 요동치고 있어요. 이번 혼란은 현지 시각 12일 미국 정부가 ‘스마트폰과 노트북·하드디스크 드라이브·컴퓨터 프로세서·메모리칩·반도체 제조장비 등에는 상호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고 발표한 탓에 벌어졌어요. 처음에는 아이폰 등 대부분의 제품을 중국에서 제조하는 애플의 CEO 팀 쿡이 트럼프를 설득한 결과라는 추측이 우세했어요. 베트남에 생산기지가 있는 삼성도 덕을 봤다는 말이 나왔고요. 이런 기대를 반영해 12일 이후 애플과 삼성의 주가는 강세를 보였어요. 그러나 미국 정부 당국자들은 ‘반도체와 IT 장비 등에는 다른 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결코 관세 면제가 아니라는 사실’을 분명히 했어요.

정인 한마디

🍭 개인의 말 한마디에 급격하게 요동치는 증시는, 심지어 그게 급등이라고 해도 몹시 위험해요. 개인투자자 입장에서 아무리 주가 예측이 어려워도 본질적으로 주가는 결국엔 핵심 지표에 따른 기초체력, 즉 ‘펀더멘털’에 수렴하게 되어 있어요. 기업이라면 재무제표의 실적, 국가라면 GDP나 고용률 같은 지표들의 시너지가 펀더멘털이에요. 분석가와 투자자들은 펀더멘털 요소들 사이의 관계와 성장성을 보는 거고요. 그런데 지금은 증시에서 최소한의 판단 근거와 방향성이 사라진 상태예요. 이렇게 비이성적인 순간이 길지 않기를 바랄 수밖에 없어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