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2026년 1월부터 2029년까지 코스피(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상장폐지 요건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어요. 상장기업 입장에서 ‘상장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이 전보다 강화된다고 보시면 돼요. 이미 상장된 기업이더라도 일정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면 상장폐지 요건이 발생해, 심사를 받거나 일정 기간 후 상장폐지 돼요.
현행 기준은 다소 느슨했어요
그간 상장을 유지하기 위한 ‘일정 기준’이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이어져 왔어요. 한 예로 ‘상장 기업이라면 이 정도 시가총액과 매출은 달성해야 한다’는 기준이 있지만, 현행 코스피에서는 시가총액 50억 원, 매출 50억 원(시총 1000억 원 이하일 경우에만 적용) 수준이에요. 15~20년 전에 설정해 놓은 기준인데, 이 기준에 미달해 상장폐지 된 사례는 지난 10년간 사실상 없었어요. 상장 유지에 치명적인 ‘감사의견 미달’ 시에도 상당한 개선 기간을 부여하고 있었죠.
‘밸류업’의 발목을 잡아 왔죠
금융당국은 국내 증시가 저평가되는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해 ‘밸류업’을 하는 게 목표예요. 현행 기준으로는 좀비 기업 또는 저성과 기업을 제때 퇴출하지 못해 ‘밸류업’의 발목을 잡을 수 있어요. 금융당국의 안대로 시가총액과 매출액 기준을 높이는 등 상장폐지 요건이 강화되면, (현재 기준으로) 코스피와 코스닥 상장 기업 약 200곳(코스피 62개 사, 코스닥 137개 사)이 상장폐지 된다는 시뮬레이션 결과도 나왔어요. 코스피 상장사 중 8%, 코스닥 상장사 중 7%에 해당하는 수치예요.
JYP 한마디
👀 사실 그간 국내 주식시장은 ‘상장하기는 비교적 쉽고, 큰일이 나지 않는 이상 상장폐지될 일은 없는’ 분위기에 가까웠어요. 그럼에도 ‘3월은 상장폐지의 달’이라며 주주들을 떨게 만드는 뉴스들이 매년 봄마다 나오곤 했는데요, 상장폐지 요건이 강화되면 이런 뉴스가 더 자주 눈에 띌 거예요. 국내 주식 투자자라면 내가 투자한 기업의 실적이 상장 유지를 할 수 있는 정도인지 체크해 봐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