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의 대응 방안은 생산성 향상이래요
수출에 의존하는 경제에서 고환율은 큰 문제예요. 지난 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50개 대기업을 상대로 고환율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는데, 기존 사업 계획들은 환율을 현재 수준(1,450~1,500원)보다 낮게 잡고 수립했기 때문에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해요. 이에 대해 기업들이 꼽은 대응 방안 중 ‘생산성 향상을 통한 원가 절감 노력’(74.1%)이 압도적 1위를 차지했어요. 사실 ‘생산성’은 미국만 혼자 잘나가는 현재 글로벌 경제를 설명하는 핵심 요인이에요. 우리나라나 일본, 유럽은 각자 취약한 분야에서 낮은 생산성을 지적받고 있는데, 미국은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으로 글로벌 빅테크들을 키워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거든요.
경제성장 능력이 자꾸만 떨어져요
지난해 연말, KDI에서 ‘한국경제 생산성 제고를 위한 개혁방안’ 보고서를 발표하고 컨퍼런스를 열었어요. 경제에서 ‘생산성’이란 주어진 시간 내에 한정된 노동력과 자원을 사용해 얼마나 많은 생산량 혹은 가치를 만들었는지를 뜻해요. 노동생산성은 노동자가 일정 시간 동안 일해서 만들어낸 결과물의 양이고, 자본생산성은 일정 금액을 투자했을 때 돌아오는 결과물의 양이에요. 다시 말해 경제가 성장할 때의 ‘효율성’이라고도 볼 수 있죠. 우리나라는 특히 서비스업 관련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이 낮은 상황이에요. 최근에는 전체적인 생산성을 뜻하는 총요소생산성도 빠르게 하락하고 있어 문제예요.
노동생산성을 어떻게 측정해? 👉 기준이 궁금하다면 어피티 오리지널 <생산성은 생각보다 기계적이에요> 보러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