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우리나라 국민순자산의 지니계수는 0.605였지만, 2021년에는 0.603으로 나타났어요. 2011년부터 2016년까지는 조금씩 완화되는 양상을 보이다가, 2016년부터 다시 불평등이 심화되기 시작해 결국 10년 전과 비슷한 수치로 돌아왔죠.
“그래도 몇 년 전보다는 분명히 나빠진 거 아닌가요?” 이렇게 질문하고 싶은 독자님도 계실 거예요. 맞습니다. 10여 년 전과 비교하면 크게 나빠지지는 않았으나, 몇 년 전과 비교하면 자산격차가 더 커진 셈이죠.
하지만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이 있어요. 바로 한국의 자산 지니계수는 선진국에서도 낮은 편이라는 점이에요. 지니계수는 평등할수록 0에 가깝다고 했죠. OECD 국가별 가계 자산의 지니계수 변화를 보면, 한국은 조사를 진행한 2010년, 2014년, 2017년 모두 자산 지니계수 하위권에 머물렀어요.
부의 불평등 제대로 바라보기
한국은 소득격차가 심한 편이지만, 10여 년 동안 빠르게 개선되어 왔어요. 자산격차는 10여 년 전과 비슷한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원래부터도 불평등이 심한 편이 아니었죠. 따라서 빈부격차의 심화만을 강조하는 담론은 통계와는 거리가 있는 이야기예요.
한국사회종합조사(KGSS)와 같은 여러 데이터에서는 부의 불평등에 관한 한국인의 인식 변화도 관찰돼요. 부의 재분배를 적대적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이 늘어났고, 자기 자신을 하류층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은 줄어들었죠. ‘빈부격차가 과거보다 심해졌으며, 이를 해소해야 한다’는 관점만으로는 온전히 이해할 수도, 해결할 수도 없는 변화들이에요.
부의 불평등은 여전히 큰 사회 문제입니다. 그러나 부의 불평등 문제가 가지고 있는 복잡성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사회 현상을 통계 그 이상으로 과장하는 태도는 지양해야 해요. 정책을 만들고 실행하는 주체 입장에서는 더더욱, 단순히 ‘부익부 빈익빈의 심화’가 문제라고 외치는 대신 더 섬세하고 엄밀한 담론을 제시할 필요가 있어요.
💌<청년을 위한 통계는 있다>는 매주 수요일 머니레터에 연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