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잡기 위해 여전히 ‘인상’ 기조예요
미국이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0%p 내리는 ‘빅컷’을 결정하고, 유럽과 중국 등 주요국에서도 기준금리를 낮추며 경기부양에 나서고 있어요. 이렇게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대출금리도 낮아질 거라 기대하게 되는데요, 국내 사정은 정반대입니다.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 은행권에서는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신용대출 등 가계대출 금리를 올리겠다고 밝혔어요. 이전부터 가계대출 증가세를 막기 위해 대출 문턱을 높여 왔는데요, 약 한 달간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가 최근 다시 금리 인상에 불을 붙이기 시작한 거예요.
가계대출 잡히긴 했지만 문제가 있어요
2분기 들어 은행권에서 대출금리를 높이고, 대출조건을 강화하면서 가계대출 증가폭은 다소 누그러진 상태예요. 지난 9월 5대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은 약 4조 원으로 8월(약 9조 원)에 비해 절반 가까이 줄었습니다. 문제는 ‘어떤 대출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줄었냐’예요. 부동산 시장 과열을 억제하는 것도 정부의 과제인데, 지난 9월 주택 구입용 주택담보대출은 크게 줄지 않았거든요. 한창 부동산 시장이 뜨거웠던 7~8월에 이뤄진 매매 관련 대출이 시차를 두고 9월에 실행됐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