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청년 정책에 28조 원 투입합니다

글, JYP

올해 청년 정책 개요가 나왔어요

정부가 올해 28조 원 규모의 청년 정책 사업을 추진해요. 어제(2일) 열린 15차 청년정책조정위원회에서 결정된 사안이에요. 청년정책조정위원회의 위원장은 국무총리라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이 자리에 참석했어요. 올해 청년 정책은 총 5개 분야에 걸쳐 339개 과제로 구성돼 있어요. 이 중에서 청년분들이 꼭 알아야 하는 경제생활 관련 정책 몇 가지를 꼽아봤어요.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을 확대해요

  • 청년도약계좌는 내가 납입한 금액과 이자에 더해, 5년 만기 시 정부의 기여금을 추가로 제공하는 정책금융상품이에요. 정부의 월 최대 기여금은 기존 24,000원에서 33,000원으로 늘어나고, 3년 이상 가입을 유지할 경우 기여금 일부(60%)를 지급하도록 개선했어요. 

청년주택드림대출을 출시해요

  • 정부는 지난해 청년들을 우대하는 주택청약저축으로 ‘청년주택드림통장’을 신설했어요. 올해는 이 계좌의 혜택 범위를 확대하고, 이 통장으로 청약 당첨 시 분양가의 최대 80%까지 낮은 이율(최저 연 2%)을 제공하는 ‘청년주택드림대출’을 신설해요. (올해 3월 말 출시된다고 했는데 아직 안 나왔어요)

청년 전세대출을 버팀목전세대출로 통합해요

  • 청년을 대상으로 제공하던 전세대출을 버팀목전세대출로 통합하면서, 지원 대상과 대출 한도를 확대해요. 

뉴:홈 공공분양주택 공급을 늘려요

  • ‘뉴:홈’은 청년에게 시세보다 저렴하게 제공하는 공공분양주택이에요. 올해 이 주택의 공급을 기존 5.8만 호에서 6.7만 호로 늘려요. 

기본계획 아래서 나오는 정책이에요

정부는 2021년부터 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해 추진하는 중이고, 이 1차 기본계획의 마지막 해가 바로 올해예요. 청년정책 기본계획의 목적은 청년 정책이 연속성을 갖고 점차 확장해 운영되도록 하는 거예요. 정권에 따라 청년 정책이 이랬다저랬다 바뀌거나 도중에 사라지지 않고, 큰 그림 아래서 추진될 수 있게끔 만들어놓은 거죠.

JYP 한마디

🤔 청년정책 기본계획이라는 큰 그림 아래서 정책이 추진되지만, 상황에 따라 세부 내용이 달라지기도 해요. 2023년에는 현 정부의 국정과제를 반영해 ‘희망·공정·참여’를 기조로 수정했어요. 올해를 마지막으로 1차 기본계획이 종료되기 때문에, 연말즈음 2차 기본계획이 어떤 방향으로 제시될지 귀추가 주목돼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