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미국 대선, 증시에 어떤 변수일지 지켜봐야 해요

글, JYP


증시가 불확실성에 휩싸였어요

11월 미국 대선이 가까워지면서, 주요 후보들의 말 한 마디에 전 세계 증시가 출렁이는 중이에요. 지난주 후반부에는 반도체주가 급락했는데요, 그 배경으로 공화당 대선 후보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이 꼽혔어요. “미국이 대만을 과도하게 지원하고 있다”, “대만이 미국 반도체 사업의 100%를 가져갔다” 등의 그의 발언을 두고 다음과 같은 해석이 나와요.

  •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1위인 대만 기업 ‘TSMC’를 저격한 것
  • 대만뿐만 아니라 한국, 일본 등 반도체 기업도 미국의 과도한 지원을 받는다고 여기고 있음
  •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 미국 중심의 반도체 동맹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음
  • 이 불확실성이 반도체주에 상당한 리스크로 작용

전문가들의 예측이 엇갈려요

향후 증시 움직임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예측이 엇갈려요. 11월 미국 대선이 다가올수록 증시 변동폭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며 시장 불확실성은 사그라들 것이라는 전망이 동시에 나와요. 과거 미국 대선이 치러진 해를 살펴보면, 대체로 증시가 하락세였다가 선거 이후에 회복되는 양상을 보이곤 했어요. 산업별로는 반도체와 하드웨어 등 기술업종의 수익률이 부진했고, 유틸리티와 소비 필수업종은 비교적 양호했다고 해요.

JYP의 한줄평
  • ‘미국 대선이 있던 해’의 증시 움직임으로 올해 증시를 섣불리 예측할 수는 없어요. 당시 특수한 경제상황의 영향도 있었거든요. 대선이 있던 해 중 2000년은 닷컴버블, 2008년은 글로벌 금융위기, 2020년은 코로나19가 경제를 뒤흔든 상황이었어요. 마침 ‘현재 경제 상황’을 가늠할 만한 지표가 발표돼요. 이번 주 초에는 MS, 알파벳(구글), 테슬라 등의 실적이 나오고, 현지시각 25일에는 미국 2분기 GDP, 26일에는 미국 물가지표인 PCE 6월 결과가 나올 거예요. 

공유하기

관련 글

photo by unsplash
감세, 관세 증세, 이민 축소 그중에 제일 문제는 관세예요
오는 20일 취임할 트럼프 행정부 2기 경제정책에 마가노믹스(Maganomics)라는 이름이 붙었어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history-in-hd-cTz5-T7voqQ-unsplash (1)
H1-B 비자, 트럼프 내각 분열의 신호?
트럼프 당선인의 지지자들은 반이민 정서가 강해요. 하지만 트럼프 정부의 실세로 평가되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실리콘밸리를 대표해...
화면 캡처 2024-12-15 171529
세계 경제는 어떠냐고요? 미국 빼고 다 별로…
지난 12일, 유럽중앙은행(ECB)은 올해만 세 번째로 정책금리를 인하했어요. ECB가 금리를 인하하는 배경에는 유로존 전체의 내년...
street-statistics-debt-loss-globe_1150-1721
나스닥만 천장 뚫어버린 사연
현지 시각 11일, 미국 나스닥 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20000을 돌파했어요. 나스닥 지수는 1971년 개설되며 최초 설정 주가 100으로...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요일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