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띠 졸라매고 1억 모았지만…

머니 프로필

  • 닉네임: 힘과꾸망
  • 나이: 만 30세
  • 금융성향: 숲을 보는 앵무
  • 하는 일: 연구직
  • 세전연봉: 4200만 원
  • 월 평균 실수령액: 303만 원
  • 월 평균 저축액: 130만 원
  • 월 평균 고정비: 약 47만 원
    • 대출 원리금 75,740원, 관리비 6만 원, 가스비 5만 원, 전기세 15,000원, 주유비 6만 원, 귀향 기차비용 12만 원, 통신비 16,190원, 보험료 3만 원, 구독서비스 8,960원, 기부금 3만 원
  • 월 평균 변동비: 약 107만 원
    • 마트/편의점 269,467원, 외식비 332,688원, 커피/간식 88,427원, 쇼핑 168,836원, 취미활동 159,180원, 자기계발 5만 원
  • 연간 비정기 지출: 약 201만 원
    • 여행 50만 원, 경조사 70만 원, 의료 753,600원, 미용 6만 원
  • 주거형태: 전세
  • 현재 자산
    • 비상금: 1360만 원
    • 예적금: 6390만 원
    • 청약금: 360만 원
    • 연금: 765만 원
    • 주식: 509만 원
    • 보증금: 4800만 원 (전세대출 3800만 원 별도)
  • 재무 목표: 
    • 그동안 모은 1억 원 굴리기 
    • 장기적으로 노후 대비하기 

힘과꾸망 님의 일주일 머니로그

맛있는 커피를 마시기보다는 탕비실 커피를 마시는 등 목표 달성을 위해 대체 가능한 것으로 참는 습관이 생겼어요. 목표 달성도 좋지만, 이제부터는 조금씩 마음을 놓는 연습을 해야 할 것 같다고 생각하는 중입니다.


1일 차, 토요일

배달 음식 24,699원

냉장고에 먹을 찬이 있었지만, 금요일까지 힘든 일정을 소화한 탓에 배달을 주문했습니다. 며칠간 나눠서 먹을 생각이에요. 땡겨요 앱에서 지역 상품권으로 더 할인받을 생각이었는데, 해당 행사가 일시 정지 중이라 못 써서 아쉬웠어요. 그래도 할인 행사나 쿠폰이 많고 점주 수수료도 낮은 편이라고 해서, 배달 음식을 시켜 먹을 때는 이 앱을 먼저 쓰려고 노력해요.


👉 DAY 1 TOTAL: 24,699원


2일 차, 일요일

구글 플레이 29,000원

원래 게임에 돈을 쓰지 않는데, 자주 가볍게 오래 즐기고 있는 휴대전화 게임의 광고 제거 옵션을 구매해 보았습니다. 귀여워서 좋아하는 게임이에요.


커피 상품권 6장 19,200원

나름 좋은 일이 있었는데도 기분이 나아지지 않아서 친구들 커피를 샀습니다.


👉 DAY 2 TOTAL: 48,200원


3일 차, 월요일

학자금 상환 75,740원

통신비 16,190원

기부금 30,000원

여러 고정비가 나가는 날이에요. 대학원 등록금 대출금리가 시중금리보다 더 싸서 학자금 대출을 전세금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점심 식사 7,500원

커피 3,800원

원래는 점심 도시락을 싸서 다니는데, 이날은 빼 먹어서 주변 식당에 갔습니다.

영화 예매 10,000원

지자체 소규모 영화관에서 <플로우>와 <해피엔드>를 예매했습니다. 


👉 DAY 3 TOTAL: 143,230원


4일 차, 화요일

점심 식사 10,000원

커피 4,000원

냉동 도시락이 1개밖에 남지 않아서 퇴근하고 운동 가기 전에 간단히 챙겨 먹으려고 일부러 두고, 점심은 밖에서 사 먹었어요. 커피는 절대 타협할 수 없어서 매일 지출하고 있습니다. 저녁을 따로 사 먹지 않는다면 오늘과 같은 하루가 가장 일상적인 지출이에요!


👉 DAY 4 TOTAL: 14,000원


5일 차, 수요일

2박 3일 출장길에 올랐습니다.


커피 4,400원

기차역에서 커피를 사 마셨는데 맛이 너무 없어서 슬펐습니다.


점심 식사 12,000원

출장지에서 점심을 먹었습니다. 


택시 4,846원

이동을 위해 택시를 타고 N분의 1을 했어요. 


저녁 식사 15,000원

저녁을 먹었습니다.


편의점 1,800원

편의점에서 아이스크림을 사 먹었습니다. 


👉 DAY 5 TOTAL: 38,046원


6일 차, 목요일

커피 3,800원

점심 먹고 커피를 마셨습니다. 


시집 24,000원

회사 일정 끝나고 주변을 구경하다가 읽고 싶었던 시집을 발견해서 구매했어요. 


랜드마크 입장료 3,000원


편의점 2,900원

열심히 돌아다녀서 그런지 출출해서 편의점 간식을 샀습니다.


👉 DAY 6 TOTAL: 33,700원


7일 차, 금요일

커피 14,600원

어제 저녁밥을 얻어먹어서 커피를 샀습니다.


점심 포장 14,300원

기차에서 먹을 먹거리를 포장했어요.


주차비 9,000원

주차비를 결제했습니다.


👉 DAY 7 TOTAL: 37,900원


나름 가계부를 열심히 작성하고 있어서, 처음에는 머니로그를 쓰는 게 뭐가 다를까 싶었어요. 그런데 막상 써 보니 관리하는 계좌가 진이 빠질 정도로 너무 많다는 것과 고정비가 다달이 50만 원 가까이 나간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머니로그를 쓰기 시작할 때는 돈 쓰는 것을 덜 어려워했으면 좋겠다고 적었지만, 막상 고삐를 푸니 큰 어려움 없이 소비하는 저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돈을 아껴 쓰던 시간이 길어서 그런지 돈을 쓰려고 하면 죄책감이 들어요. 너무 아끼는 것도, 너무 쓰는 것도 정답은 아닐 텐데, 어느 정도로 균형을 맞춰야 할지 고민이 되네요. 

총 지출: 339,775원

쇼핑/기타: 187,930원

식비: 137,999원

교통비: 13,846원

힘과꾸망 님의 돈 관련 목표와 고민

20대 시절, 재테크를 하려면 가시적인 목표가 있어야 한다는 말을 듣고, 만 30세까지 1억 원을 모으기로 결심했었어요. 만 30세인 지금, 다행히 그 목표는 달성했지만 이제 다음이 막막하게 느껴집니다.


복리의 마법을 활용할 시점이라는 생각은 드는데, 한편으로는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들어선 상황에서 현금을 다른 자산으로 바꾸는 것이 부담스럽게 느껴져요. 그렇다고 예적금 금리가 매력적인 것도 아니라서 자금을 어떻게 운용해야 할지 갈피를 잡기 어렵습니다. 금리가 비교적 높은 적금 상품들은 대부분 소액 한도로만 가입할 수 있다 보니, 여러 계좌를 동시에 관리해야 해서 오히려 번거롭게 느껴지기도 해요. 게다가 저는 아직 대학원에 다니고 있어서, 경매나 부동산처럼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한 분야에 뛰어드는 것도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입니다. 


당장은 구체적인 계획이 없지만, 언젠가는 이 자금으로 집과 차를 새로 마련하고 싶고, 장기적으로는 노후 대비까지도 염두에 두고 있어요. 그동안 열심히 모아온 이 돈을 앞으로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요?


힘과꾸망 님을 위한 어피티의 솔루션

힘과꾸망 님, 솔루션을 전해 드리기에 앞서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이 있어요. 바로 힘과꾸망 님은 이미 목표를 달성했다는 사실이에요. 20대부터 ‘서른 살에 1억 원 모으기’라는 목표를 세운다는 것만으로도 쉽지 않은 일인데, 심지어 그 목표에 도달하셨다니 정말 대단한 일이에요. 학자금 대출과 지방 생활비, 자차 유지 비용까지 감당하며 이뤄낸 결과라는 걸 생각하면 더 대단하고요. 먼저 충분히 잘해 온 스스로를 꼭 칭찬해 주세요.


1억 원을 다 모으고 막막한 마음이 들었다고 하셨는데, 당연히 그럴 수 있어요. 이런 고민을 하시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거든요. 이럴 때 가장 주의해야 하는 건 주변의 섣부른 조언과 유혹에 휘둘리는 거예요. 원금이 클수록 낮은 손실률에도 큰돈이 사라질 수 있다는 점, 알고 계시죠. 지금껏 열심히 모은 돈을 잃지 않도록, 앞으로도 스스로 목표와 기준을 잡고 돈을 굴려야 합니다. 어피티의 솔루션은 이 점에 집중해서 말씀드려 볼게요.


현재 자산은 대부분 안정형 자산에 몰려있어요

힘과꾸망 님이 고민하신 것처럼, 지금 자산 포트폴리오는 예금·적금 중심의 안정형 자산 비중이 매우 높아요. 자산을 지키는 데는 최적의 구조지만, 자산을 불리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죠. 지금처럼 약 1억 원의 금융자산을 모은 시점부터는, 단순히 원금을 차곡차곡 쌓는 ‘더하기’의 영역에서 벗어나, ‘곱하기’의 효과를 낼 수 있는 수익률 관리 전략을 함께해야 할 때입니다.


이제부터는 자산을 목적별로 나누고, 각 자산의 기대 수익률을 설정해 보세요. 지금까지 모아온 예금과 적금은 훌륭한 안정성 자산인 동시에 현금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주지만, 이것만으로는 수익률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어요. 일부 자금을 수익형 자산에 분산해 포트폴리오 전체의 수익률 평균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해요. 기억해야 할 점은 ‘수익률’이라고 해서 갑자기 고위험 투자에 집중하지 않아도 된다는 거예요. 나의 성격과 성향에 맞는 범위 안에서 접근해야 하죠. 


예를 들어 전체 금융자산의 30% 정도만 연 7% 수익률이 기대되는 고위험 자산에 배분하고 나머지는 70%는 예·적금이나 중위험 상품에 두는 식이에요. 그래도 포트폴리오 전체의 평균 수익률은 연 4~5% 수준에 맞출 수 있어요. 물론, 7% 수익률은 누구도 보장할 수 없는 기댓값입니다. 심지어 손실을 볼 수도 있어요. 하지만 ‘수익률을 높이고 싶다’는 목표가 있다면 투자는 피할 수 없는 선택이에요. 복권도 사야 당첨되듯, 수익도 리스크를 감수하고 ‘시장에 참가한 사람’에게 돌아갑니다.


스스로 나에게 최적화된 목표 수익률을 잡기 어렵다면 일단 연수익률 5%를 1차 목표로 삼아 보세요. 반기 또는 1년에 한 번씩 리밸런싱하며 점검하는 과정은 힘과꾸망 님께 큰 도움이 될 거예요. 


힘과꾸망 님의 재무목표를 중심으로 살펴볼까요? 

힘과꾸망 님의 머니로그 기고문 원문을 보면, 크게 세 가지 재무목표가 눈에 띄어요. 

  • 대학원 졸업 후 한 달간의 여행
  • 집과 차 마련
  • 노후 대비


세 가지 모두 명확하게 목적이 잡혀있는 ‘쓸돈’인데, 그 시점에 차이가 있죠. 이 세 가지 목표에 맞춰 자산을 아래처럼 관리해 볼 수 있어요. 


  • 6개월 내 쓸 돈(단기 목표): 졸업 후 여행 자금으로 쓸 돈은 약간의 이자는 제공하면서도, 언제든지 돈을 빼서 쓸 수 있는 곳에 보관하는 게 좋아요. 파킹통장·CMA·MMF 같은 유동성 높은 계좌에 보관해 두세요
  • 1~5년 내 쓸 돈(중기 목표): 이미 여러 개의 적금에 가입돼 있는데요, 이 적금의 만기 시점에 일부는 정기예금으로 이동하고, 일부는 중위험·중수익 ETF나 채권형 펀드로 운용해 수익률을 조금 더 높여보세요. 적금과 투자를 분리해서 생각하기보다는 ‘매달 저축 및 투자에 사용하는 금액의 수익률을 높이겠다’라는 생각으로 적금과 적립식 투자를 병행하는 거예요.
  • 5년 이상 후에 쓸 돈(장기 목표): IRP·연금저축 등 세액공제 혜택이 있는 상품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세요. 연금저축은 연 600만 원까지, IRP까지 합치면 연 90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고, 세액공제를 받으며 장기 복리 효과도 누릴 수 있어요. 월 소득의 10%로 시작해도 노후 대비 기반은 충분히 마련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관문도 충분히 잘 해내실 거예요

지금처럼 ‘나 어떻게 해야 하지?’, ‘이제부터는 어디로 가야 하지?’라는 생각이 드는 시기는 다음 단계를 위한 에너지를 모으는 시간이에요. ‘1억 만들기’라는 첫 관문을 통과한 힘과꾸망 님이라면, 그다음 목표도 충분히 이뤄낼 수 있을 거예요. 


조금 더 여유를 갖고, 돈이 ‘시간의 힘’을 받아 불어날 수 있도록 만들어보세요. 방향은 하나예요. 열심히 번 돈이 이 돈이 잠들지 않게, 일하게 하는 것! 어피티도 그 여정을 함께 응원할게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