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승객이 줄었어요
올해 2월부터 서울택시 기본요금이 2㎞ 3,800원에서 1.6㎞ 4,800원으로 올랐습니다. (🗝️) 요금 인상 이후로 택시 이용객은 감소하고 택시 외 지하철 등 심야 대중교통 이용객이 늘어났습니다. 다른 물가도 많이 올라서 택시요금 인상이 소비자에게 부담스럽게 다가왔다고 해요.
택시대란을 해결하려는 정책이었어요
지난해 11월에는 개인택시 3부제를 해제했습니다. 3부제 해제와 요금 인상은 택시 공급을 늘리고 수요는 줄여, 승차난을 해소하려는 정책이었어요. 2021년과 2022년에 택시대란이 심각했거든요. 당시, 3일에 한 번 의무적으로 쉬어야 하는 3부제에 묶여 개인택시는 나오고 싶어도 제한이 있었고, 법인택시는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었어요.
택시회사 매출은 제자리예요
택시 요금이 올랐는데도 택시회사 매출은 크게 늘지 않았습니다. 승객이 줄었거든요. 업계 내 불균형도 부작용으로 지적되고 있어요. 개인택시는 규제에서 자유로워진 반면, 법인택시는 여전히 사람을 구하기 어렵습니다. 분위기가 이렇다 보니 서울 외 다른 지역 택시들은 서울과 달리 요금 인상을 보류하고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