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콜릿 대신 계피, 또는 바닐라
전 세계 카카오 수급에 비상이 걸렸어요. 코트디부아르와 가나 등 전 세계 카카오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서아프리카의 가뭄이 심각해, 카카오나무가 모두 말라버렸어요. 미국 초콜릿 회사 허쉬는 리세스와 킷캣 등 대표 제품의 초콜릿을 바닐라크림과 계피크림으로 대체하기도 했어요. 우리나라 제과업계도 비상 대응에 들어갔습니다.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은 직접 아프리카 가나로 날아갈 정도였어요. 이렇게 이례적이고 긴 가뭄은 이상기후로 엘니뇨 현상이 너무 강해졌기 때문이에요.
커피도, 설탕도, 우유도, 달걀도
문제는 초콜릿뿐만이 아니에요. 지난 15일부터 동서식품이 커피믹스 등 커피 제품의 출고 가격을 평균 8.9% 인상했어요. 커피 원두는 물론 설탕까지 주요 원재료 가격이 가파르게 올랐기 때문이에요. 커피 원두와 설탕의 주요 생산지인 브라질은 70년 만에 최악의 가뭄과 고온 현상을 겪었어요. 베트남도 태풍으로 한 해 농사를 망쳤습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우리나라 정부는 커피원두에 ‘할당관세’를 더 낮출 것을 검토 중이에요. 할당관세는 특정 수입품의 관세 세율을 일정 기간동안 낮춰주는 제도인데요. 농식품부는 현재 0%인 커피생두 할당관세를 올해 말까지 연장 신청했다고 해요. 여기에 미국과 유럽에서 조류인플루엔자가 유행한 데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가축사료 값이 올라 우유와 달걀 가격마저 상승했습니다. 디저트 시장에 광범위한 어려움이 닥칠 전망이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