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로 선포한 관세 전쟁, 한미 FTA도 휴지조각 됐어요

글, 정인

‘상호관세’란 표현부터 틀렸어요

현지 시각 2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우리나라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어요. (그러나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26%로 명시돼, 정부가 진상 파악에 나섰어요.) 상호관세는 한 국가가 다른 국가의 관세 조치에 대응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보복 조치예요.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나라가 실질적으로 미국에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근거는 없어요. 2008년 한미 FTA 발효 이후 대부분의 산업재 및 농축산품에 대해 양국은 상호 무관세 체제를 구축해 왔기 때문에, 우리나라가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는 평균 0.79%밖에 되지 않아요. 환급 등 사후 혜택을 고려하면 실질 세율은 이보다 더 낮아요. 그럼에도 미국이 ‘상호관세’ 부과를 강행하며 한미 FTA는 이제 무효가 됐다고 봐야 해요.


‘탈중국’도 대규모 투자도 소용없었어요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세계 주요 무역 상대국이 모두 ‘상호관세’의 대상이 됐어요. 중국에는 34%, 유럽연합(EU)에는 20%, 베트남에는 46%, 대만에는 32%, 일본에는 24% 등 관세율을 적용했는데요, 특히 베트남과 일본, 대만이 눈에 띄어요. 베트남은 지난 바이든 행정부 때부터 ‘탈중국’하는 각국 제조업 기업이 몰린 곳이에요. 관세만 보면 결과적으로 중국을 벗어나 오히려 더 큰 불이익을 당한 셈이 되었죠. 베트남과 태국 등 중국 대체 생산기지로 성장하던 국가들이 큰일이에요. 또, 일본의 소프트뱅크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700조 원 넘는 투자를 발표했고, 대만의 TSMC는 147조 원이 넘는 대미 투자를 결정했는데도 행정부 리더십 공백을 겪고 있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우리나라와 관세율에 큰 차이가 없거나 더 높아요. 추후 협상을 할 수 있을지 모른다는 기대가 있지만, 동시에 어떤 방안으로도 ‘징벌’을 피할 수 없어 중장기적 시나리오는 무의미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와요.

정인 한마디

🐸 EU 등 다른 국가가 보복 조치 방침을 밝히자, 미국의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보복하면 더 큰 보복을 당할 것’이라며 ‘가만히 있으라’고 경고했어요. EU나 중국처럼 자신의 구역 안에서도 어느 정도 자족적 상거래가 가능한 국가와 달리 우리나라는 보복조치를 취할 수 없어요. 수출의존도가 높고, 가격결정력이 없는 소규모 개방경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에요. 무역을 통해 큰돈을 벌고 있지만, 얼마에 팔 것인지는 시장과 고객에 전폭적으로 맡겨야 하는 ‘권력 없는 부자’예요. 다행히 철강과 자동차에 이중관세 적용은 피했지만 환율 변동 우려가 기다리고 있어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