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잣돈을 모으기 위해 실천하고 있는 습관이나 전략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 밤비 (29세, 회사원): “저는 월급을 받으면 먼저 저축하고 남은 돈으로 지출하고 있어요.”
예전에 신용카드를 썼다가 카드값 갚느라 허덕인 적이 있어서 지금은 체크카드만 사용해요. 투자는 미국주식 개별주 구매를 하거나, 우량주 위주로 적립식 투자를 하고 있고 국내주식은 지수추종 ETF와 금 투자를 하고 있어요. 또, 생활비를 아끼기 위해 점심은 도시락을 싸서 다니고, 저녁은 집에서 최대한 해결하거나 혹은 블로그 체험단으로 식비를 절약하고 있어요.
- 티끌 (25세, 연구원): “저도 무조건 선저축 후지출을 하고 있어요. 신용카드는 교통비와 휴대전화 요금만 나가게 해두고, 나머지 지출은 모두 체크카드를 사용해요.”
토스에서 전체적인 자산을 관리하고 뱅크샐러드에서 분야별 예산을 설정한 후 가계부를 작성하며 어떻게 돈을 썼는지 파악하고 있어요. 경제적 자유가 목표라서 투자 비중을 늘려가고 있는데, 현재는 자산의 50%를 투자하고 있어요.
- 무너 (33세, 회사원): “저는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등 정부 혜택 상품에 꼭 가입하는 편이에요.”
일반 적금보다 이율이 높거든요. 나라에서 목돈을 만들어주는 형태의 적금 지원을 많이 해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게, 저처럼 소비 습관이 나쁘고 저축에 대한 의지가 부족한 사람들은 이런 정책으로 처음 저축을 시작하면 돈이 모이는 재미도 얻고 저축 습관을 들일 수 있게 되더라고요.
- 모나미볼펜 (30세, 회사원): “특별한 투자 없이 예적금만 하고 있어요.”
안정적인투자를 위해서 토스의 채권투자에 관심이 가긴 해요. 사회초년생일 때는 씀씀이가 작았는데, 월급이 조금 오르면서 저축률이 크게 떨어졌거든요. 팬데믹 이후 돈 쓸 일이 줄어들면서 반강제로 돈을 모을 수 있었어요.
목표한 종잣돈을 모았을 때, 가장 먼저 해보고 싶은 일은 무엇인가요?
- 무너 (33세, 회사원), 밤비 (29세, 회사원), 집가고싶닥 (25세, 회사원), 페퍼로니 (29세, 개발자): “전 2억 정도를 모을 수 있다면 아파트를 사고 싶어요.”
제가 두 발 뻗고 맘 편히 살 수 있는 내 집 마련은 무조건 하고 싶어요. 그리고 경제적 자유를 누리고 싶어요. 일하지 않고도 배당받으며 먹고 살 수 있었으면 해요.
- 티끌 (25세, 연구원): “결혼 예정인데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싶어요.”
일단 각자 5000만 원에서 1억 정도를 결혼 자금으로 사용하고 싶어요. 둘이 함께 모으면 더 빠르게 저축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있어서 결혼하고 3억까지 빠르게 모으는 것이 현재 목표예요.
- 모나미볼펜 (30세, 회사원): “22년도에 전세로 살았었는데 당시 곳곳에서 전세사기가 터져서 너무 무서웠어요.”
지금은 운 좋게 본가에서 가까운 직장을 얻어 본가에서 생활하고 있지만, 언제까지 이렇게 살 순 없어 내 집 마련을 꿈꾸고 있어요. 원하는 지역의 작디작은 소형아파트 청약당첨이 제 꿈입니다. 하지만 이것도 막연한 꿈이고 뚜렷한 목표가 없어서 그런지 정작 종잣돈을 모아놓고는 야금야금 갉아 쓰고 있는 것이 현실이네요.
어피티의 코멘트
종잣돈 1억, 혹은 2억 같은 기준은 초기에 돈을 모으는 동력이 될 수 있겠지만, ‘종잣돈이 얼마인가?’보다 더욱 중요한 건 다른 데에 있을지도 몰라요. 결국 그 돈을 모아서 ‘무엇’을 하고 싶은지가 있어야겠죠.
이번 인터뷰에 참여한 청년들은 모두 ‘내 집 마련’을 가장 먼저 꼽았어요. 혼자 힘으로 수도권에서 집을 살 수 있을 정도로 자금을 모으는 건 쉽지 않은 일이겠지만, 주거 안정은 모두가 바라는 일이죠. 특히 청년들의 삶과 직결된 문제란 생각이 들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