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비상사태’ 그래서 대안은?

글, JYP


‘인구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했어요

지난 19일, 윤석열 대통령이 ‘인구 국가비상사태’를 공식 선언했어요. 저출생 추세를 반전시키기 위한 3대 핵심분야의 주요 대책도 발표했어요. 

  • 일·가정 양립: 육아휴직 급여 상한 250만 원(기존 150만 원)으로 인상, 육아휴직 대체인력지원금 신설 등
  • 교육·돌봄: 0~5세 단계적 무상교육 및 보육 실현, 늘봄 프로그램 단계적 무상운영 확대 등
  • 주거 및 결혼·출산·양육: 신생아특례대출 소득기준 한시 폐지, 출산가구 주택공급 연 12만 호로 확대, 결혼 특별세액공제 신설 등


실효성 있는 정책이 중요해요

전에도 저출생 문제에 대응하는 정책이 없었던 건 아니에요. 지난 16년간 280조 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했고, 작년에도 저출생 대응 예산으로 47조 원을 썼는데요, 이 중에서 저출생 문제에 ‘직결’된 곳에 사용한 예산은 절반 정도에 불과했어요. 실제 정책 수요자들은 ‘일과 가정의 양립’ 문제가 중요하다고 말하지만, 이 분야에는 2조 원(8.5%)만 지원됐습니다. 현재 정부는 기존 정책의 비효율을 찾아내, 저출생의 근본적 문제 해결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이에요.

JYP 한줄평
  • 저출생·고령사회·이민정책. 현재 ‘인구전략기획부’에서 담당하는 인구 문제입니다. 이 세 가지가 정부 관점에서의 한국 인구 문제 핵심 키워드라고 보시면 돼요. ‘국가 비상사태’로 선언할 정도로 큰 문제로 조명된 저출생에 대해 얼마나 실효성 있는 정책이 만들어지고, 그 정책을 위한 재원이 어떻게 마련되는지 잘 지켜보셔야겠어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