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 한국은행, 여성 고용 회복세 평가 (2023)
청년뿐만 아니라 고학력 여성, 결혼한 여성, 1명의 자녀가 있는 여성의 고용률도 크게 상승했는데요. 일자리 수요와 일자리 공급에서 나타난 변화들이 여성 고용률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요. 아래의 요인들은 팬데믹 이전부터 존재했지만, 팬데믹 이후에 가속화되면서 여성 고용률 상승을 이끌었어요.
👩💼달라진 일자리 수요 요인
-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비대면 일자리 증가
- 고령화로 인한 보건복지 일자리 증가
👩💼달라진 일자리 공급 요인
- 늘어난 유연근무제
- 남성의 가사분담, 자녀돌봄 확대
- 결혼을 늦게 하는 미혼 여성의 증가
유연근무제와 가정 내 역할 변화가 여성 일자리 공급 확대에 이바지했다는 것은 자녀가 있는 여성들이 겪어 온 불리한 노동조건이 개선되고 있음을 의미해요.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듯, 결혼, 출산, 육아 등으로 인해 노동시장에서 이탈한 여성이 재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경력 단절 문제도 점차 완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요. 이번에는 통계청의 자료를 함께 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