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 정부가 밀어주고 엔비디아가 투자하면 살아날까요?


 

인텔, 정부가 밀어주고 

엔비디아가 투자하면 살아날까요?

글, 정인

 

미국 정부와 엔비디아가 인텔 주주가 돼요

지난주, 글로벌 반도체 업계에 큰 뉴스가 있었어요. 엔비디아가 인텔에 50억 달러(7조 원)에 달하는 지분 투자를 하기로 한 거예요. 서로 PC와 AI 칩을 교환 도입하거나 신제품 개발도 공동으로 하기로 약속하는 등 기술 협력 발표도 있었어요. 전통적으로 라이벌 관계였던 두 기업이지만 트럼프 정부의 미국 반도체 산업 부양 정책에 발맞추는 의미에서 맺은 동맹이에요. 미국 정부도 총 111억 달러를 인텔에 지분 투자하기로 했어요. 엔비디아 투자 발표 직후 인텔 주가는 당일 22%나 상승했어요.

 

미국 내 반도체 산업을 부활시키려는 수예요

인텔은 한때 글로벌 반도체 공룡 기업이었어요. 그러나 2010년대부터는 내리막길에 접어들었죠. 현재 인텔의 부채는 알려진 것만 500억 달러에 달해요. 지난해만 해도 퀄컴이나 엔비디아 등 다른 반도체 기업은 ‘인텔은 여러 복잡한 문제가 있어, 인수는 어렵다’태도였어요. 하지만 미국이 우리나라와 대만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으려면 인텔 공장을 살려야 하죠. 인텔은 ‘미국 안에서’ 반도체를 자체 설계하고 직접 대량 생산 가능한 ‘유일한 미국 기업’이니까요. 인텔의 부활우리에게도 중요한 문제예요. 인텔을 되살리려고 미국 정부가 보호정책을 펼치면 펼칠수록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손해를 입으니까요.

정인 한마디

🚁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이 떨어지는 기업을, 정부가 나서서 어떻게든 보호해주는 모습이 낯설지는 않아요. 고도성장기 우리나라의 국가 주도 개발정책이 그랬고, 현재 중국의 국영기업들도 그렇죠. 예전 미국은 지금과 달리 다른 국가들의 그런 보호정책을 그만두게 하려는 편이었고요. 시장 질서가 격변하는 시절이니만큼 우리는 거시경제 관련 뉴스를 잘 쫓아가야 해요. 결국 생태계 자체가 미국으로 이전해야 반도체 산업 부활이 성공하기 때문에 반도체 공급망 자체가 흔들릴 가능성이 있어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