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국이 혼란해지며 경제법안 입법 절차가 사실상 멈췄어요. 여야 간 논의를 통해 국회에서 절차를 밟아야 법안을 최종적으로 만들 수 있는데, 현재 쉽지 않은 상황이에요. 특히 여당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로 분열돼 있어 법안 통과 협의가 어려워요. 여당은 야당이 제안한 경제분야 한정 국정안정협의체도 거절한 바 있어요. 지금 국회를 통과해야 하는 경제 관련 법안으로는 위기청년 지원법, 반도체 특별법, AI 기본법,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 대부업법개정안, 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 등이 있어요.
입법 절차가 밀려 있거든요
입법 절차는 다음과 같아요. 정부나 국회의원들이 법안을 발의하면, 그 법안은 국회의 소관 상임위원회에 회부돼요. 상임위에서는 법안을 검토하고 정말로 필요한 법인지 논의해요. 상임위를 통과한 법안은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에 올라가 법체계 속에서 다른 법률과 충돌하지는 않는지 심사해요. 소관 상임위와 법사위를 통과하지 못한 법안은 본회의로 올라가지 못해요. 본회의가 바로 우리가 생각하는 국회예요. 여기서 찬반투표를 통해 최종 입법이 결정돼요. 그러니 상임위조차 통과하지 못한 법안은 지금, 이 상황에서 제대로 입법될 가능성이 굉장히 낮은 셈이죠. 국회 회기가 종료되면 처리되지 못한 법안들은 자동으로 폐기돼요.
올해 언론을 달궜던 이슈들인 데도요
올해가 보름도 남지 않았기 때문에, 특히 아래 법안들은 중요한 법안들임에도 불구하고 국회 통과를 기대하기 어려워요.
반도체 특별법: 반도체기업에 지원을 강화하자는 취지로 만들어진 해당 법안에는 반도체산업 R&D 종사자에는 주 최대 52시간제 근로 적용을 제외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어 여야 간 의견이 충돌해요. 이 법은 심사 일정조차 잡히지 않았어요.
🎁 다음 국회 회기에 재발의하면 되기는 하지만, 세상은 국회를 기다려주지 않죠. 우리나라의 열흘은 10년처럼 길어요. ‘이게 다 올해 벌어진 일이야?’ 싶을 만큼 온갖 사건사고가 터지거든요. 내년에는 내년의 중대 이슈가 있을 테니 계속 미뤄봤자 우선순위가 떨어질 뿐이에요. 기사에서 소개한 법안 외에도 건축 안전 관련 법이나 취약 청년을 지원하는 법 등 여러 생활경제 관련 법안이 합의되지 않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