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AI 전쟁 아니라, AI ‘인재 전쟁’이라고?


 산업 

이제는 AI 전쟁 아니라, 

AI ‘인재 전쟁’이라고?

글, 치타

 

AI, 이제 돈이 됩니다

최근 알파벳(구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까지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있었어요. 실적은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었는데, AI 덕분이에요. 메타는 AI로 최적화한 덕에 광고 전환율과 플랫폼 사용 시간이 늘어났다고 밝혔어요. AI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덕에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플랫폼 ‘애저’의 매출이 39% 늘었고, 알파벳은 올해 상반기 체결된 클라우드 계약이 작년 전체와 맞먹는 수준이라고 말했죠. ‘AI가 돈을 버는 게 맞아?’라는 의문을 제기했던 ‘AI 버블론’은 잠잠해진 모양새예요. 최근 AI 경쟁에서 뒤처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던 애플도 이번 실적 발표에서 ‘모든 에너지를 AI에 쏟고 있다’는 말해 투자자들의 우려를 진정시켰어요.

 

AI의 ‘두뇌’를 사기 위한 경쟁이 한창이에요

빅테크들은 AI에 대한 투자를 기존보다 더 늘리기로 했어요. 그 투자는 초대형 인프라뿐 아니라, 상위 ‘0.1%’에 해당하는 인재 영입도 포함해요. 이들을 위해 천문학적인 돈을 쓰는 것을 두고 ‘돈으로 두뇌를 산다’는 말도 나오고 있죠. 특히, 메타는 ‘초지능 연구소(MSL)’를 설립하고, 공격적으로 인재를 영입하고 있는데요. 인간을 능가하는 지능을 가진 AI인 ‘초지능’을 내세워, 시장을 선점하려는 전략이에요. 다른 기업들은 그 전 단계인 ‘범용인공지능(AGI)’ 개발에 집중하고 있거든요.

 

현재로서는 메타가 앞서가요

메타는 스케일 AI의 알렉산더 왕을 데려오기 위해 약 20조 원을 투자했고, 경쟁사의 인재들에게 인당 1억 달러의 보상 패키지를 걸었어요. 최근 공개된 메타의 초지능 연구소의 구성원 리스트를 보면, 거대언어모델(LLM) 개발을 주도한 경험이 있고, AI 전체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핵심 인물들로 구성한 것을 알 수 있어요. 메타에 인재 여럿을 뺏긴 오픈AI는 ‘도둑이 들어와 훔쳐 간 듯하다’며 공개적으로 비판했는데요. 인수에 공을 들이고 있던 AI 코딩 스타트업 윈드서프의 엔지니어들까지 구글로 이직하면서, 오픈AI 위기설이 불거지기도 했어요.

치타 한마디

👤 빅테크 기업들은 동시에 대규모 감원을 진행 중이에요. ‘저성과자’를 잘라 AI로 대체하고 아낀 돈으로 인프라 구축과 핵심 인재 영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것이죠. 그것이 과연 옳은 선택인가에 대한 판단을 떠나서, 매년 수십조 원을 투자할 수 있는 빅테크에 AI 개발 주도권과 그 성과가 집중되는 상황은 주시할 필요가 있어 보여요. 인류의 미래가 달린 기술을 소수의 결정에 맡겨야 하는 위험성에 대해서도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