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폼 전성시대, 우리는 왜 점점 짧은 콘텐츠에 중독될까?”
숏폼 영상을 즐기지 않는 현대인이 있을까요? 틱톡,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까지. 짧은 영상들은 긴 영상을 봐야 하는 시간을 단축시켜주긴 하지만, 사람들의 집중력을 앗아가는 주범으로 지목받고 있어요. 숏폼의 진짜 문제는 짧고 재밌고 자극적인 콘텐츠가 알고리즘에 의해 끊임없이 회전초밥처럼 이어진다는 거예요. ‘하나만 더 봐야지.’라는 생각으로 시작했다가 몇 시간이고 계속 들여다보게 되죠.
숏폼의 영향력은 대단합니다. 최근에는 K-팝 음원도 2분대로 짧아지는 추세거든요. 과거에는 3분 이상의 곡들이 일반적이었지만, 소비자들의 짧은 콘텐츠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음원 길이도 짧아지고 있어요. 숏폼 트렌드에 맞춘 1~3분짜리 드라마(숏드)도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해요.
모든 것이 숏폼에 맞춰 짧아지고 있는 이 시대, 숏폼은 과연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요? 이번 생생MZ톡에서는 숏폼에 대한 MZ세대들의 솔직한 생각을 들어봤어요.
생생 MZ톡 참여자
- 달달(32세, 마케터)
- 크리스탈(35세, 회사원)
- 꼬똥(27세, 회사원)
- 빈이(21세, 대학생)
- Cory(33세, 직장인)
- 링링(35세, 직장인)
- 으니(29세, 사무직)
- 해적왕(26세, 취준생)
- 팥빙수(33세, 회사원)
- 로마일(25세, 회사원)
틱톡, 릴스, 쇼츠 등 짧고 자극적인 영상들, 하루에 평균 얼마나 시청하나요?
- 달달(32세, 마케터): “얼마나 시청하는지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많이 보고 있어요.”
핸드폰 사용 시간을 측정하는 스크린 타임을 확인해 보니 인스타그램만 하루에 2시간 이상 봤다고 나오더라고요. 일하다가도 자꾸 손이 가고, 친구들이 재밌는 릴스를 DM으로 보내주면 보고, 점점 더 많이 보게 되는 것 같아요.
- 꼬똥(27세, 회사원): “체감상으로 하루 1시간 반 정도 보는 것 같은데 완전히 넋 놓고 보면 2~3시간 이어봐요.”
숏폼에 중독되면서 지갑이 자꾸만 열리네요. 알고리즘을 타고 인플루언서들이 소개하는 예쁜 물건들 리뷰 영상이 계속 뜨니까 사고 싶어져요.
- 로마일(25세, 회사원): “하루 평균 3시간씩은 시청하는 것 같아요.”
주말 및 공휴일의 경우는 4시간~5시간 정도 봐요. 특히, 잠들기 전 1시간씩은 루틴처럼 꼭 보고요. 업무 중에도 일이 좀 막힌다 싶으면 저도 모르게 스마트폰을 찾아서 숏폼을 시청하기도 해요.
- 팥빙수(33세, 회사원): “저는 경각심을 느끼고 틱톡이랑 인스타그램 어플 자체를 아예 안 보려고 하고 있어요.”
숏폼 영상이 알고리즘에 의해 노출되면, ‘관심 없음’ 버튼을 눌러서 아예 피하고 있어요. 대신 긴 영상을 2배속으로 봐요. 최근에는 유튜브 프리미엄 기능으로 3배속 시청 기능도 나왔더라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