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에 영화 보러 가시나요?

글, JYP

설 연휴 앞두고도 ‘특수’ 노리기 어려워졌어요

1월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설 연휴가 6일로 늘었지만, 극장가에서는 설 연휴 특수를 누릴 수 있을지 걱정이 커요. OTT 가입자가 늘고 극장 관람료가 비싸지며 영화관을 찾는 관객들이 줄어든 데다, 최근 이렇다 할 대작이 없거든요. 영화 <하얼빈>만이 개봉 이후 연속으로 박스오피스 1위를 달리며 500만 고지를 향해 달려가고 있어요. 그 외에는 24일 개봉하는 <검은 수녀들>에 기대를 걸고 있어요


팬데믹 이후 100% 회복하지 못했어요

지난해 전체 영화관 관객 수는 1억2312명으로 2023년(1억2513명)에 비해 다소 줄었어요. 연간 영화관 관객 수는 2013년부터 2019년까지 꾸준히 2억 명대를 유지해 왔지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급감한 뒤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했어요. 월간으로 보면 상황은 더 나빠지고 있어요. 지난해 11월, 한국 영화 매출액은 246억 원으로 1년 전에 비해 40.2%(165억 원) 감소했어요. 12월 통계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으로 지갑을 닫게 만드는 일들이 많아, 반등하기 어려웠을 거예요. 

JYP 한마디

🎬 영화 업계 관계자들은 팬데믹을 계기로 “극장 소비가 위축되며 투자도 위축되고, 한국 영화 황금기 때와 같은 과감하고 실험적인 상업영화에 투자하는 것이 어려워졌다”고 말해요. 또 팬데믹 당시 영화 개봉이 밀린 작품들이 많은데, 그 사이 트렌드에 뒤처지며 소비자에게 만족감을 주지 못했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영화 티켓값이 관건이에요. 1인당 15,000원에 달하는 티켓값이 ‘가격 대비 값어치’를 하는지가 중요하죠.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