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5월 국내 인구이동통계’를 발표했어요. 서울에서 5,883명이 빠져나온 반면, 경기도에는 6,224명이 유입됐고, 인천과 충남에는 각 1,440여 명이 전입했어요.
자료 출처: 통계청
지난 2023년 국내 인구이동통계와 비슷한 흐름인데, 지난해에는 1년간 인천·충남·세종·경기에 인구가 순유입됐고 제주·전북·경북·서울·부산·경남·울산·광주에서 순유출됐어요. 20대와 30대의 이동이 가장 많았고, 이동 사유는 주택, 가족, 직업 순이었어요.
여전히 출근은 서울로 해요
서울 인구밀도는 2021년 기준 1㎢당 1만 5,650명으로 세계 최고 수준이에요. 서울에서 인구가 빠져나오면 이론적으로는 인구과밀이 느슨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2022년 기준 경기나 인천으로 이주한 사람들의 46.5%는 여전히 서울에서 경제활동을 이어간다고 해요. 이 경우 서울의 인구과밀은 사실상 해소되지 않아요. 오히려 개인의 통근 비용이 늘어나고, 경기·인천에도 다른 편의시설이나 일자리 관련 인프라 대신 대규모 주거단지만 들어서 도시 황폐화가 발생할 수 있어요.
📚 뉴스에 참고한 자료
성한경. (2023). 서울 인구의 경기도·인천 이탈에 대한 세대별 결정요인 분석. 시장경제연구, 52(1), 93-112.
손아람, 이수기. (2024). 수도권 1인 가구 연령대별 주거이동 유입 영향요인 분석 :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 인구이동 자료(2015~2020)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25(1), 71-90
정인 한줄평
최신 연구에서 흥미로운 지점은, 서울 자치구 내에서 도서관이 많은 곳일수록 20대가 덜 빠져나간다는 거예요. 20대만큼은 아니지만 다른 세대에서도 도서관이 많을수록 인구 유출이 적었어요. 도서관이 주변의 여러 여건을 대변한다고 해석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