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정보기술기업을 ‘빅테크(Big Tech)’라고 하죠. 세계적으로는 구글이, 우리나라에서는 ‘카카오와 네이버 등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중국에서는 알리바바, 텐센트, 메이퇀덴핑, 징둥이 4대 빅테크로 불리며 플랫폼경제를 장악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국 4대 빅테크가 정부의 견제와 감독으로 고전 중입니다. 지난 11월 3일, 알리바바의 핀테크 계열사 ‘앤트그룹’이 IPO에 실패한 건 우리나라에서도 뉴스가 됐었죠. 마윈 회장이 중국 금융당국을 비판했다가 상장 중단 지시를 받았고, 투자자에게 약 19조 원을 물어주게 됐다는 내용이었습니다.
11월 10일에는 중국에 ‘플랫폼 반독점 규제 지침’이 공표되고, 19일에는 공정한 경쟁을 위한 범정부 협의체가 설치됐습니다. 핀테크의 수익모델 중 하나인 소액 대출을 막을 것이라는 보도도 이어졌어요. 중국 정부가 빅테크 규제 움직임을 보인 데는 정치적인 이유가 작용했다는 분석이 많았는데요. 전문가들은 그뿐만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그동안 간섭하지 않았던 중국 당국이 빅테크도 ‘클 만큼 컸다’라고 판단해 규제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그래서 빅테크가 쌓아온 데이터를 개방하고, 빅테크가 잡고 있는 모바일 결제 주도권을 정부가 가져오려는 시도라고 해요.
📍대형 플랫폼 기업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는 건 세계적인 흐름이기도 합니다. 정보기술의 엄청난 발달로 이전에는 없던 낯선 권력이 등장한 셈이라서, 어떤 부작용이 있을지, 이 힘을 어떻게 컨트롤해야 할지 아무도 예측을 못 하고 있거든요.
by 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