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멕시코에 25% 부과하려 해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 즉시 발동되는 행정명령을 통해 캐나다와 멕시코에 최대 25% 보편 관세, 중국에는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가 모두 30일 유예했어요. 이 같은 관세 인상은 미국 경제에도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지적에는 ‘고통이 따를 수도 있지만 가치 있는 고통일 것’이라며 ‘캐나다는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어야 한다’는 SNS 게시글을 올리기도 했어요. 캐나다와 멕시코는 즉각 반발, 보복 관세를 선언했으나 발동 직전 미국과 맞대고 있는 국경에 군사를 주둔시켜 마약 밀매 근절에 노력하기로 하고 유예를 얻어냈어요. 캐나다와 멕시코는 미국의 무역 상대국 중 거래 규모가 가장 큰 국가들이에요. 이 순서에 따르면 다음 관세 전쟁 대상국은 EU예요. 관세 부과 명령이 떨어지자 미국 증시는 일제히 하락했다가 유예 발표 이후 낙폭이 줄어들고 있어요.
벌써 우리나라에 파편이 튀었어요
‘딥시크’ 쇼크에 이미 2,510까지 하락했던 코스피는 관세 전쟁이 본격화한 영향으로 3일 어제 1.9% 급락하며 시작, 2,453.95로 2.52%나 하락 마감했어요. 원-달러 환율도 껑충 뛰어 1달러에 1,470원을 넘보고 있어요. 하지만 아직은 간접적인 영향일 뿐이에요.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2월 18일부터 국가별 관세 부과를 마무리하고 품목별로도 관세를 더 물린다고 공언했어요. 그런데 관세가 추가로 매겨질 품목의 후보군에는 반도체가 최우선으로 포함돼 있어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 품목이죠. 멕시코에 부과된 관세도 우리나라 기업에 손해를 입히고 있어요. 현대모비스와 기아, 삼성과 LG 등이 멕시코에서 공장을 운영하고 있거든요. 캐나다에도 우리나라의 이차전지 관련 기업들이 진출해 있어요. 역사적으로 아메리카 대륙의 국가들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등 자유무역협정을 맺고 경제블록을 구축해 활발한 거래를 해왔어요. 우리나라 기업들은 바로 그 이점을 이용해 왔던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