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쉬는 날, 전통시장이나 동네 마트를 더 자주 가게 되셨나요?
- 네모네오 (32세, 사무직): “대형마트가 쉰다고 해서 시장을 가지는 않아요”
대형마트가 쉰다고 해서 시장을 가지는 않아요. 급하게 필요한 물건이 있으면 잠깐 들를 때도 있지만, 인터넷으로 주문하거나 다음날 마트에 다시 가는 편이에요. 재래시장에는 장을 보러 가는 목적보다 관광지에 가는 기분으로 특별한 경험을 하고 싶어서 가는 경우가 더 많거든요. 예를 들면, 망원시장의 유명한 맛집인 ‘우이락’이나 ‘할머니전집’같은 노포에 가는 것도 그 이유예요.
- 씩씩이 (32세, 프리랜서): “신선식품 때문에 온라인 쇼핑보다 대형 마트를 이용해요.”
저는 신선식품은 직접 눈으로 보고 사야 안심이 되는 편이라서요. 온라인 쇼핑보다는 대형마트를 더 선호해요. 그런데 시장은 정찰제가 아닐 때가 많아, 다음날까지 기다렸다가 대형마트를 가는 편이에요.
- 딸기 (32세, 생산직): “시장에는 쉴 곳이 없어서 불편해요.”
저는 시장에 가는 걸 원래 선호하지 않아요. 장을 보다가 피곤하면 잠깐 앉아서 쉴 곳이 있으면 좋겠는데 시장은 그런 공간이 없어서 불편하더라고요.
- 리리 (30세, 사무직): “동네 마트는 가도 시장을 찾아간 적은 없어요.”
대형마트 대신 동네 마트는 가본 적 있지만, 시장을 일부러 찾아간 적은 없어요. 재래시장은 꼭 뭘 사러 가기보다는 주말에 바람 쐬러 가는 느낌이 더 크거든요. 방문하는 목적이 마트와는 조금 다른 것 같아요.
- 아침식사 (27세, 개발자): “전통시장은 아쉬운 점이 많아서 가기 망설여져요.”
저는 전통시장이 집에서 대중교통으로 30분 거리에 있어서, 대형마트가 쉰다고 해서 일부러 찾아가진 않아요. 전통시장은 시설과 위생 문제, 주차 환경 등에서 아쉬운 점이 많아서 가기 망설여져요.
대형마트 의무휴업 외에 소상공인을 보호할 수 있는 더 나은 방법이 있을까요?
- 네모네오 (32세, 사무직): “지역사랑상품권 같은 정책이 더 효과적이라고 봐요.”
저는 현재 유통 업계에서 일하고 있는데요. 대형마트가 쉬면 재래시장 소상공인이 수혜를 입는다기보다는 주변 중소 식자재 마트나 기업형 슈퍼마켓이 반사이익을 얻는 것 같아요. 마트 문을 닫게 하기보다는 지역사랑상품권처럼 지역 소비를 유도하는 정책이 더 효과적이라고 봐요.
- 리리 (30세, 사무직): “마트 근로자에게도 꼭 필요한 제도라고 생각해요.”
저는 마트 의무 휴업이 유지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소상공인을 보호하는 효과가 없지는 않다고 생각하고 마트 근로자에게도 꼭 필요한 제도라고 생각해요. 저는 예전에 대형마트에서 일했었는데, 주말에 쉬는 게 정말 절실했거든요. 교대 근무를 하더라도 주말엔 매출이 높아 더 바쁘니까 다들 눈치 보며 배려하느라 주말에 못 쉬었어요. 근로자에게는 주말 휴무가 너무 소중하답니다.
- 딸기 (32세, 생산직): “시장 안에 맛집이나 최신 유행하는 팝업 스토어를 유치하는 게 어떨까요?”
지자체 지원을 살펴보면,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해서 지역화폐를 많이들 사용할 수 있도록 장려하더라고요. 지속 가능한 정책이라는 생각은 안 들어요.
차라리 전통시장 안에 맛집이나 최신 유행하는 팝업 스토어를 유치하는 건 어떨까요? 그렇게 사람들을 끌어모은 후 시장 내에서 일정 금액 이상 장을 보고 영수증을 받으면, 그걸 쿠폰 삼아서 주변 상점에서 할인받을 수 있도록 연계하는 거죠.
- 아침식사 (27세, 개발자): “전통시장 자체의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생각해요.”
이미 소비자의 구매 습관이 이커머스로 많이 전환된 터라, 대형마트 휴업이 오히려 과도한 규제처럼 느껴져요. 오프라인 대형마트 매출 자체도 줄고 있어서 정책의 실효성도 떨어졌고요. 그래서 휴업을 강제하는 것보다는 전통시장 자체의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봐요.
제 본가가 있는 오산시는 ‘야맥축제’ 같은 문화 행사를 시장과 연계해서 타지역 사람들도 오게 만들더라고요. 복지관이나 동아리 공연도 있고요. 이런 지역 커뮤니티와 전통시장을 연결하려는 시도가 소상공인을 보호하는 데 더 실질적인 효과를 준다고 생각해요.
어피티의 코멘트
대형마트 의무휴업제가 도입된 것은 2012년입니다. 도입 당시만 해도, 골목상권을 위협하는 대형마트들로부터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을 보호하고 마트 근로자들의 휴식권을 보장하는 ‘최소한의 안전망’으로서 효과가 있다는 의견이 많았죠. 찬성하는 여론도 다수였고요. 그러나 10년이 넘는 시간이 흐른 뒤, 이제는 소비자의 권익을 해치고, 오프라인 업체들의 경쟁력을 약화시킨다는 의견도 많습니다. 마트 의무휴업일에 전통시장을 이용했다고 답한 MZ세대가 없었던 것처럼 제도의 실효성 자체가 의심받고 있는 것이죠.
그런데 여기서 드는 의문은 의무휴업제를 없앴다면 대형 마트를 방문하는 고객이 늘어날 것인가 하는 거예요. 온라인 쇼핑의 침투율(전체 소비액 중 온라인 비율)이 50%에 육박한다는 통계가 나올 정도로 오프라인 마트의 점유율은 크게 줄어든 상태입니다. 결국 오프라인 기반의 유통업이 어려워진 것은 이커머스의 성장 때문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만약 의무휴업제가 폐지된다면, 일시적인 매출이야 오를 수 있겠지만, 근본적으로 온라인으로의 전환을 막기는 어려울 거예요.
결국 제도라는 것은 모든 이들을 만족시킬 수 없고, 그 규제의 도입과 폐지를 통해 얻는 득과 실을 저울질하여 최선의 합의점을 찾는 일일 텐데요.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을 한쪽이 살면 한쪽이 죽는 경쟁 관계로 보는 게 아니라,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생활편의 시설이자 오프라인 연합으로서 공존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