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첩장 모임 범위는 이렇게 정해보세요! 👀
직접 만나서 식사 대접할 친구들
- 친하게 지내던 전 직장 동료 또는 현 직장 동료
- 최근 1년 내 같은 프로젝트를 진행한 회사 동료
- 1년에 1~2번은 만나는 친구들이나 모임 멤버들
- 자주 연락은 안 해도 가끔 봐도 반가운 오랜 친구들
- 최근 1년 내 2번 이상 연락을 주고받는 친구 (카톡, 전화)
- 서로 생일을 챙기거나 일 년에 한 번 이상 만나는 친구들
- 과거에 청첩장을 받았던 사람들 중 현재까지 관계가 유지되는 경우
- ‘이 친구가 결혼하는데 나한테 청첩장을 안 주면 나는 서운한 기분이 들까?’라고 생각되는 사람들
- 결혼식에 꼭 와줬으면 하는 사람들 또는 평소 만나고 싶은 사람들
모바일 청첩장만 보낼 친구들 (결혼 한 달 전쯤)
- 지금은 자주 연락 안 하지만 과거에 좋은 관계였던 사람들
- 다른 사람을 통해 소식을 들을 수 있는 사람들
- 과거에 청첩장을 받았지만 현재는 연락이 뜸한 경우
- 해외에 있어 직접 만나기 어려운 지인
청첩장 아예 안 보내는 경우
- 인스타그램에서만 소통하고 실제 연락은 하지 않는 관계
- 회사에서 같은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고, 자주 만나지 않는 동료
- 단톡방이 비활성화된 그룹의 구성원
- 연락한 지 1년 이상 지난 친구들
- 과거에 축의금을 냈더라도, 오래 연락 안 해서 머쓱한 사이
- 현재 전혀 연락이 없는 사람들
청첩장 모임, 이렇게 하면 편해요 👍
- 친구 그룹이나 모임별로 이전에 결혼한 친구가 있었다면 그 친구의 사례를 참고하면 될 것 같아요. 곗돈이나 모임비로 식사비용을 결제했다면 그렇게 하고, 결혼 당사자가 결제했다면 똑같이 하는 게 좋아요.
- 만약 식사를 대접하는 것이 여의치 않다면, 모바일 청첩장과 기프티콘이나 선물을 함께 보내는 것을 추천해요.
- 인스타그램 스토리나 카카오톡 프로필에 웨딩 사진을 올리는 등, 결혼 소식을 알리고, 메세지로 축하 인사와 함께 청첩장을 요청하는 친구들에게 주는 것도 방법이에요.
- 식사 메뉴는 파스타가 일반적이에요.
종이 청첩장, 만들 때 참고하세요 💐
- 청첩장에는 부부 사진을 넣지 않는 것이 좋아요. 지인들이 얼굴이 들어있는 사진을 버리는 것이 찝찝하다고 하더라고요.
- 친구들에게 주는 청첩장에 친구와 함께 찍은 사진을 포토카드로 만들어 넣어주거나 샤쉐(향 주머니)를 넣는 등, 사소한 선물을 함께 넣어주면 반응이 좋아요.
모바일 청첩장, 보낼 때 이렇게 하세요 💗
- 모바일 청첩장은 넉넉하게 보내세요. 친하지 않더라도 축하받고 싶은 사람들에게 다 보내는 걸 추천해요. “왜 나는 안 줬어?”라는 말을 듣는 것보다, 보내고 나서 “부담 갖지 말고 멀리서 응원해 줘!”라고 하는 게 더 편하거든요. 청첩장을 보내면서 “기쁜 소식 있어서 함께 나누려고 연락했어!” 정도로 가볍게 덧붙이시면 돼요.
- 축하를 받고 싶은 상대라면 성의 없이 문자만 남기는 것보다는, 바쁘더라도 전화를 해서 축하를 받고 싶으니 함께해 달라고 직접 내 목소리로 전하는 게 맞는 것 같아요.
청첩장 모임 유경험자의 한 마디 💬
- 결혼 준비 과정에서 주변 사람들의 진심을 알게 돼요. 예상치 못한 반응들이 있을 수 있어요. 긍정적인 것도, 부정적인 것도요. 상처받는 일이 있더라도, 그건 끝난 인연이라고 생각하고 마음을 정리하시고 나를 진심으로 축하해 주는 사람들의 마음에 더 집중하세요. 이렇게 많은 축하를 받을 기회가 또 있을까 싶을 정도로 감사한 마음이 들 거예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