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독자: 얼마 전에 제가 스스로에 대한 기대치가 높은 사람이라는 이야기를 들었어요. 😑
어피티: 보통은 칭찬의 의미로 하는 말 같은데, 마음에 걸리는 게 있으신가요?
the 독자: 저는 솔직히 제가 안 그런 것 같거든요. 저는 그냥… 평균 정도만 됐음 좋겠어요.
어피티: 그렇다면 정말 기대가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니신데요?
the 독자: 그런데, 모든 면에서 평균 정도 했으면 좋겠어요. 그런 거 있잖아요. 뭔가 대단하지 않아도 크게 모난 데 없고, 인기가 하늘을 찌르는 건 아닌데 모두에게 호감을 사고, 최고 성과를 내지는 못해도 실수 한 번이 없는 그런…
어피티: 그건 기대가 높은 것 맞아요. 🤗 ‘모든 면에서의 평균’은 평균보다 정말 달성하기 어려운 상태죠.
혹시 여러분도 우리의 the 독자 님이 스스로에게 너무 큰 기대를 한다고 생각하셨나요? 하지만 우리의 마음 속을 잘 들여다보면, 누구나 조금씩은 the 독자 님처럼 생각한답니다. 왜냐하면 사람들에게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손실회피(Loss aversion)’의 본능이 있거든요.
행동경제학에서는 사람들이 이익보다 손해에 훨씬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예를 들어 10만 원을 얻는 기쁨이 +10이라면, 10만 원을 잃는 슬픔은 반대로 정확히 -10이 아니라 -20쯤 된다는 거죠. 사람들은 대개 이익보다 손해에 두 배 정도 강하게 반응한다고 해요.
‘평균적’이라든지 ‘무난하게’, ‘평범함’ 같은 기준은 결국 어떤 손실의 고통도 없는 상태라는 거고, 그건 0에 수렴하기보다는 결과나 위치에 있어서 플러스(+) 쪽으로 조금 더 옮겨와야 가능하다고 볼 수 있죠.
금융투자상품 중 이런 손실회피 심리를 달래려고 만든 상품이 있어요. 시장에서 ‘남들 이익 내는 딱 평균(?)만 하자’, 하고 만들었더니 시장이 계속 성장하면서 손실 없이 안정적 수익을 내게 된 투자상품인데, 바로 ‘지수’를 ‘추종’하는(따르는) 상품들이에요.
지수추종상품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우선 지수가 무엇인지부터 짚고 넘어갈게요.
지수(Index)는
시장 성과를 측정하는 기준이에요
일이 잘 되고 있는지 아니면 뭔가 잘못됐는지, 잘 되면 얼마나 잘 되며 잘못되면 또 얼마나 잘못되어가고 있는지 알려는 것도 사람들의 본능이에요. 그래야 잘 될 때는 더 적극적으로 달려들고, 좋지 않을 때는 얼른 회피할 수 있으니까요. 자산을 투자하는 입장에서 시장 흐름을 파악하고 싶은 것은 너무나도 당연해요.
그래서 만든 것이 바로 지수(Index)예요. IQ지수, 행복지수, 빅맥지수, BMI지수처럼 기준을 정해서 현재 상태를 평가하는 바로 그 지수가 금융시장에도 있어요.
예를 들어 ‘한국종합주가지수’인 코스피(KOSPI)는 시가총액의 크기를 통해 우리나라 유가증권시장을 평가하는 지수죠. 우리나라 유가증권시장이 시작된 기준연도, 1980년 1월 4일을 기준으로 당시 상장된 기업들의 시가총액을 100으로 잡아요. 코스피는 이 100이라는 점수를 기준으로 시가총액이 몇 배나 상승했는지 보여줘요.
시가총액은 [회사의 현재 주가×발행 주식 수]로 계산하는데, 기업의 시장 가치를 나타내요. 사람들이 많이 사고팔다 보면 주가는 오르기 마련이에요. 반대로 사람들이 팔려고만 한다면 주가는 떨어지겠죠. 상장된 주식을 사려는 사람이 많으면 시가총액은 커지고, 그렇지 않으면 시가총액은 거의 늘어나지 않거나 오히려 떨어질 거예요.
그러니까 코스피 지수가 2500포인트라는 건, 1980년 1월 4일에 비해 상장된 기업들의 시가총액은 25배 성장했다는 뜻이에요. 증시에 들어와 있는 돈의 규모가 25배 커진 거예요. 1980년부터 코스피를 추종하는 상품이 있어서 투자를 시작했다면 코스피 추종 상품은 지금까지 25배의 수익률을 냈겠죠.
투자시장의 다른 주요 지수로는 나스닥, S&P500,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등이 있어요. 지수별로 계산법은 조금씩 다르지만, 오르면 돈이 많이 들어온 것이고 떨어지면 투자자금이 빠져나갔다고 해석하면 되는 점은 비슷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