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게 생산량은 줄고 중국 어선은 늘고
가을은 꽃게가 제철이에요. 그런데 이상기후 때문에 서해 어장에서 꽃게 어획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0%나 적어요. 올여름 서해 수온은 평년 대비 평균 2.2도 높았어요. 꽃게잡이에 어려움을 더하는 원인이 하나 더 있어요. 바로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온 중국 어선의 불법 조업이에요. 올해 9월, NLL을 침범한 중국 어선은 전년동기 대비 하루 평균 26.8% 늘어났어요. 중국 어선은 ‘싹쓸이’ 방식으로 어류자원을 남획해 더욱 문제예요.
높은 수온이 가장 큰 문제예요
지난달까지만 해도 꽃게 소매 가격은 크게 낮았어요. 마트마다 최저가 경쟁을 벌였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가을이 깊어져도 꽃게 어획량이 늘지 않아 도매가가 급등, 유통업계도 더 이상의 출혈경쟁을 지속하지 못하게 됐어요. 꽃게뿐 아니라 해산물 가격은 전반적으로 오름세예요. 대표적인 가을 수산물 먹거리 중 하나인 전어는 물론 참조기와 양식 우럭도 이상고온에 생산량이 급감했어요. 조개·굴 등 어패류 폐사가 심각해 올해 9월 한 달간 경상남도에서만 565억 원 피해액을 기록했어요. 그나마 국가 간 협상 여지가 있는 어업활동과 달리 이상기후는 그야말로 속수무책이에요. |